광주전남 9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0% 가까이 줄었다.

무역수지는 여전히 흑자 기조를 유지했으나 증가 폭은 전달과 비교해 확연히 줄었다.

16일 광주본부세관이 발표한 9월 광주전남 지역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8% 준 35억8천800만달러, 수입 역시 10.9% 감소한 25억400만달러로 무역수지는 10억8천4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코로나 충격에' 광주전남 9월 무역수지 '불황형 흑자'
광주지역 수출은 주로 수송 장비가 견인했으며, 전남지역은 화공품(1.1%)을 제외한 석유제품(-50.7%)·수송장비(-44.8) 등의 수출이 줄었다.

무역수지는 전달 13억1천200만달러, 7월 14억3천만달러와 비교할 때 갈수록 흑자 폭이 줄고 있다.

올해 9월 말까지 집계한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3.9% 감소했고, 수입도 25.1% 줄어 무역수지는 81억3천700만달러 흑자다.

전달까지 무역수지는 70억8천500만달러다.

그나마 무역수지 흑자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코로나19 여파로 수출도 줄었지만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든 이른바 불황형 흑자가 원인으로 보인다.

9월 말 기준 수출 누계는 299억6천200만달러, 수입은 218억2천500만달러다.

지난해 같은 기간 수출과 수입액 348억8천만달러, 291억1천만달러와 비교해 격차가 크다.

품목별로 광주는 수출에서 수송장비(75.2%), 가전제품(59.3%), 타이어(70.5%) 등이 증가했고 수입은 반도체(22.4%), 가전제품(37.8%), 기계류(30.0%) 등이 늘었다.

전남은 화공품(1.1%)을 제외한 석유제품(-50.7%), 수송장비(-44.8%) 등 대부분 품목에서 수출이 줄었다.

지역별로 광주는 미국(75.6%), 중국(20.6%), 유럽연합(11.7%) 등의 수출이 늘었지만 전남은 중국(-8.4%), 동남아(-44.5%), 일본(-25.8%) 등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