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대학 연구진, 이달 지진계 설치해 2년 내 관측결과 도출
제주도가 한라산 아래 마그마 존재 여부 등을 조사한다.

다만, 이번 연구가 한라산 화산 폭발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제주 산간 땅속 깊은 곳에 마그마 존재 가능성이 제기돼 존재 여부와 마그마 이동에 따른 지진파 구조를 조사한다고 13일 밝혔다.

도 세계유산본부는 이달 한라산 고지대(해발 1천450∼1천920m) 5곳에 광대역 지진계 5개를 설치하고, 산간 지대(해발 600∼1천942m) 70곳에 '지오폰'(지표 움직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 보여주는 수신기)을 설치해 지진파를 정밀 분석할 계획이다.

도 세계유산본부는 지진계 등의 수집 자료를 분석해 향후 2년 내 한라산 지하의 마그마 존재 여부 등 확인 결과를 내놓을 계획이다.

한라산은 화산활동이 끝난 '휴화산'이 아니라 화산활동이 가능한 '활화산'이다.

서울대·고려대·부경대 대학 연구진은 제주도 중심 하부 55㎞ 부근 지점에 마그마가 존재하며, 이 마그마가 다시 갈라져 제주도 동부와 서부 지하 10∼45㎞ 깊이에 있다고 국제학술지에 보고한 바 있다.

대학 연구진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제주 산간 지진자료를 분석해 마그마 존재 여부를 파악했다.

1천년 전 제주서 화산 폭발이 있었다는 조선시대 문헌 기록도 있다.

하지만 이런 점을 근거로 한라산 폭발 가능성이 있다고 보거나 한라산 폭발 시기를 예측할 수 없다.

안웅산 도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연구부 연구원은 "한라산 등 제주 섬 내부 마그마 존재 여부만으로 한라산 폭발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번 연구는 제주 섬 안에 마그마 존재 여부와 마그마 이동에 대해 조사해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예를 들어 한라산을 냄비로, 냄비 안에 있는 뜨거운 물체를 마그마라고 볼 때 냄비를 지속해서 끓여줘야 냄비 안 물체가 한계점까지 끓어 올라 폭발한다"며 "지속적인 열에너지 공급 없이 안에 뜨거운 물체가 존재하는 것만으로 냄비가 폭발하지 않듯이, 한라산 땅속에 마그마가 있다는 것이 한라산 폭발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