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가·심청가·적벽가·토별가·박타령·변강쇠가 등 판소리 여섯마당 정리
청계본 소장자 고창군청에 기탁…고창 판소리박물관서 위탁 관리
동리 신재효 정리 판소리 사설 '청계본' 100여년 만에 '공개'
판소리 여섯바탕을 집대성한 동리 신재효 선생(1812∼1884)의 판소리 사설본 전체가 100여년 만에 공개됐다.

전북 고창군은 18일 군청에서 신재효 선생의 판소리 사설본인 청계본(淸溪本) 기탁식을 거행했다.

'청계본'에 대한 기록은 시조 시인으로 유명한 가람 이병기 선생의 '가람일기' 중 1932년 8월 17일 자에 처음 나온다.

가람은 "고창군 고수면 평지리 박헌옥 씨 집에 신재효 판소리 사설이 모두 있다"고 적었다.

이후 가람의 제자 김삼불(金三不)이 박현옥씨가 소장한 옹고집전을 1950년 출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판소리 학계는 100여년 간 청계본을 잃어버린 것으로 여겨 왔다.

그러던 중 지난 2일 연구자들의 도움으로 박헌옥 씨의 장손인 고창군 고수면 박종욱 씨 자택에서 청계본 사설 완질(完帙)이 발견됐다.

동리 신재효 정리 판소리 사설 '청계본' 100여년 만에 '공개'
청계본은 고수면 평지리 청계동에서 따온 것으로 김삼불이 붙였다.

이 청계본은 박헌옥 씨 아버지인 박경림 선생이 주로 필사했다.

1906년 '심청가'를 시작으로 1910년을 전후로 필사됐다.

청계본의 가장 큰 가치는 신재효 사설본을 모두 갖춘 완질이라는 점이다.

청계본은 춘향가(동창), 춘향가(남창), 심청가, 적벽가, 토별가, 박타령, 변강쇠가 등 신재효 선생의 판소리 사설을 모두 갖췄다.

이만우 동리 문화사업회 이사장은 "연구를 통해 신재효 선생의 판소리 사설이 어떻게 이뤄졌고 전승됐는지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1900년대 초기 언어 사용과 선인들의 태도, 풍습 등도 연구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청계본이 발견돼 신재효 선생의 판소리 연구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며 "소장자인 박종욱 씨의 후의로 청계본을 위탁 관리하게 된 고창 판소리박물관도 위상을 높이게 됐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