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 판소리 사설 형태 파악 가능해 역사·문화적 가치 커

동리 신재효(1812~1884) 선생이 집대성한 판소리 사설 필사본이 완질(完帙)로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동리 문화사업회는 지난 2일 학정 박정림 선생 후손인 전북 고창군 고수면 박종욱 씨 자택에서 판소리 사설 필사본을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필사본인 '고수 청계본'에는 신재효 선생이 과거부터 전승된 판소리 열두 바탕 중 여섯 바탕을 개작한 내용이 담겨 있다.

고수 청계본은 19세기 말 판소리 사설 형태를 온전하게 파악할 수 있어 역사·문화적 가치가 크다.

신재효 선생이 정리한 '판소리 사설 필사본' 완질 발견
동리의 판소리 사설은 그동안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며 손상됐다.

이에 후손들은 원본을 필사해 소멸을 대비했다.

널리 알려진 판소리 사설 필사본은 이병기 선생의 '가람본'과 강한영 선생의 '새터본', 김삼불의 '김삼불본' 등이 있지만, 이들은 모두 1940년대 이후 작업이 이뤄졌다.

반면 이번에 찾은 고수 청계본은 1900년대 초기 학정 선생이 삼농당 정자에서 필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필사본인 셈이다.

이만우 동리 문화사업회 이사장은 "필사본 연구를 통해 신재료 선생의 판소리 사설이 어떻게 이뤄졌고 전승됐는지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1900년대 초기 언어 사용과 선인들의 태도, 풍습 등도 연구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창군과 동리 문화사업회는 오는 18일 고수 청계본 위탁관리 전달식을 하고 필사본 연구와 보존 등의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