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경제 회복 차질 우려...다우 2.8% 급락


미국 뉴욕증시가 26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하락했다.

지수는 코로나19 재확산 부담에 하락 출발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재유행 조짐을 보이면서 경제 회복이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가 커졌다.

뉴욕증시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730.05포인트(2.84%) 떨어진 25,015.55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74.71포인트(2.42%) 내린 3,009.05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59.78포인트(2.59%) 떨어진 9,757.22를 각각 기록했다.

이번주 주간으로는 다우지수가 3.3%, S&P 500이 2.9%, 나스닥이 1.9% 각각 하락했다.

미국에서 이날 하루에만 4만명에 육박하는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해 확진자수 최다 기록을 갈아치운 것이 투자 심리를 얼어붙게 했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코로나19가 급속히 세력을 넓히자 주(州) 정부들은 경제 재개에 제동을 걸거나 영업을 재개한 사업장을 다시 문 닫게 하는 등 비상 대응에 돌입하고 있다.

특히 인구가 많은 남부 텍사스·플로리다주 등이 술집과 물놀이 시설의 문을 닫는 등 경제 정상화 조치를 중단하면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부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전날 대형은행들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테스트`(재무건전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3분기까지 자사주 매입 중단과 배당급 지급수준 동결을 명령한 것도 은행주들에 큰 타격을 줬다. JP모건체이스는 5.48%, 웰스파고는 7.42%, 골드만삭스는 8.65% 각각 급락했다.

반면 안전자산인 미 국채 가격은 올랐다.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전날보다 0.033%포인트 떨어진 0.6413%로 6월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채 수익률과 가격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다시 가파르게 확산하면서 각주들의 결정에 시장이 더욱 민감해질 것이라고 봤다. 26일(현지시간) 미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240만명에 달한 가운데 실제 감염자가 이보다 10배 더 많을 수 있다는 관측이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로부터 나왔다.

국제 유가는 26일(현지시간) 미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급증 여파로 소폭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0.6%(0.23달러) 내린 38.4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주 주간 가격으로는 3% 이상 하락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8월물 브렌트유는 이날 오후 2시55분 현재 배럴당 0.32%(0.13달러) 떨어진 40.92달러에 거래 중이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0.6%(9.70달러) 오른 1,780.30달러에 마감됐다.

이호규기자 donnie@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