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주식 순매도 4조…채권 순투자 2.8조
외국인, 주식은 넉달째 '팔자'…채권보유액은 또 사상최대
외국인이 지난달 국내 상장주식을 4조원 넘게 팔아 치우며 넉 달째 '팔자'를 이어갔다.

반면, 국내 상장채권 시장에서는 5개월 연속 '사자' 행진을 이어감으로써 143조원이 넘는 보유액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치다.

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5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국내 상장주식 4조62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로는 미국(-1조8천억원), 영국(-7천억원), 케이맨제도(-6천억원) 등 순으로 매도 규모가 컸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6천억원), 중국(3천억원), 노르웨이(1천억원) 등은 순매수했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상장주식은 520조6천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30.9%를 차지했다.

지역별 상장주식 보유액을 살펴보면 미국이 220조4천억원으로 전체 외국인 보유액의 42.3%를 차지했다.

유럽 152조원(29.2%), 아시아 67조6천억원(13.0%), 중동 19조8천억원(3.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지난달 상장채권을 2조8천210억원어치 사들이며 순투자를 유지했다.

지난 1월부터 5개월 연속 매수우위가 이뤄져 보유액은 143조1천억원(상장잔액의 7.3%)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기록한 역대 최다 보유액을 한 달 만에 또 갈아치운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한국의 재정 건전성이나 신용도 대비 국채 금리 등이 높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에서 1조8천억원, 미주에서 4천억원을 순투자했다.

유럽과 중동은 각각 9천억원, 200억원을 순회수했다.

채권 종류별로 보면 국채(2조4천억원) 위주의 순투자가 나타났고, 잔존 만기별로는 5년 이상(1조1천억원), 1~5년 미만(9천억원), 1년 미만(8천억원)에서 모두 순투자를 보였다.

◇ 외국인의 상장증권 순투자 및 보유현황 (단위: 십억원)
┌───┬────┬───────────┬────┬───┬───┬───┐
│ 구분 │ 2019년 │ │ 2020년 │ │ │ │
│ │ ├─────┬─────┤ ├───┼───┼───┤
│ │ │ 상반기 │ 하반기 │ │ 4월 │ 5월 │보유잔│
│ │ │ │ │ │ │ │ 액 │
├───┼────┼─────┼─────┼────┼───┼───┼───┤
│ 주식 │ 1,637│ 5,225│ △3,588│△25,723│△5,39│△4,06│520,58│
│ │ │ │ │ │ 3│ 2│ 3│
├───┼────┼─────┼─────┼────┼───┼───┼───┤
│ 채권 │ 9,219│ 10,939│ △1,720│ 18,978│ 7,383│ 2,821│143,05│
│ │ │ │ │ │ │ │ 0│
├───┼────┼─────┼─────┼────┼───┼───┼───┤
│ 합계 │ 10,856│ 16,164│ △5,308│ △6,745│ 1,990│△1,24│663,63│
│ │ │ │ │ │ │ 1│ 3│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