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입국자가 '1차 위험대상'…외국인 통역·운전기사 등도 격리
'확진자 없다' 주장에 지침 미준수 사례도…신문 "절대 용납 안 돼"


북한 매체가 밝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격리자가 1만명에 육박하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격리 해제가 속속 진행 중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9일 '격리해제를 규정대로 엄격히' 제목의 기사에서 "해당 지역과 단위들에서 지시문에 지적된 절차와 규범대로 격리해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그러면서 격리 및 해제 규정에 대한 지침도 소개했다.

그동안은 '의학적 감시 대상자'라고 언급했을 뿐 구체적인 개념이나 관련 지침은 소개한 적이 없다.

보도 내용을 종합하면 북한은 우선 '1차 위험대상자'를 '입국자'로 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원지가 북한과 왕래가 가장 잦은 중국인 점을 의식한 조처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북한은 입국자들과 접촉한 사람을 '2차 위험대상'으로 분류, 접촉 날짜를 기준으로 40일 이상 자택 혹은 관련 기관에 격리하고 있다.

여기에 평양 주재 외국인의 경우 30일간 격리한 데 이어 이들과 연관이 있는 공무원, 안내원 통역사, 운전사 등도 함께 격리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북한 '코로나19 격리' 지침 첫 소개…1만명 중 39%만 해제 확인
격리 해제는 대상별로 선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신문은 "2차 위험대상(접촉자)들 가운데서 1차 위험대상(입국자)들과 접촉한 때로부터 40일이 지났지만, 신형 코로나 비루스(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의심할 만한 증상이 없는 대상들은 먼저 해제시키고 그들에 대한 의학적 감시를 계속 철저히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1차 위험대상자와 함께 격리된 사람은 해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발열이나 호흡기 이상 증상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격리 해제자에게는 확인서가 발급된다.
북한 '코로나19 격리' 지침 첫 소개…1만명 중 39%만 해제 확인
이날 현재까지 북한 매체들이 공식 확인한 격리자는 평안남도 2천420여명, 평안북도 3천여명, 강원도 1천500여명, 자강도 2천630여명 등 9천550여명이다.

여기에 평양 주재 외국인 380여명까지 포함하면 약 1만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강원도와 자강도에서 각각 1천20여명, 2천630여명 등 총 3천650명과 외국인 221명이 격리 해제됐다.

공식 확인된 격리자 가운데 약 39%에 해당한다.

다만 북한이 전국적인 격리 및 해제 규모를 밝히지 않고 있어 실제 수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북한 '코로나19 격리' 지침 첫 소개…1만명 중 39%만 해제 확인
한편, 북한 당국이 한 달 넘게 강력한 방역 조치를 하면서 일부에선 규정을 따르지 않거나 반발하는 사례도 속출하는 것으로 보인다.

신문은 이날 '인민보위의 중대한 국가적 사업' 제목의 별도 기사에서 "일부 공민들 속에서는 마스크를 끼고 다니는 것을 부담시하면서 방역규정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는 성원에게 의견을 부리는(반발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또 "어떤 단위의 일군(일꾼·간부를 지칭)들은 마스크를 끼지 않은 채 모임을 조직하거나 방역사업 정형을 료해(파악)하는 해당 기관 성원들의 요구에 제대로 응하지 않는 현상도 있다"며 "이것은 전염병이 아직 유입되지 않았다고 하여 탕개(긴장)를 늦추고 있는 표현"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당국의 지휘와 통제에 '무조건 절대복종'하라고 거듭 당부했다.

이는 북한이 내부적으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전혀 없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하면서 이로 인해 도덕적 해이가 뒤따를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