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12·16 대책 이후 집값 상승을 이끌어온 강남권이 하락폭을 키우고 있습니다.

서울 부동산시장에 본격적인 한파가 시작된 셈인데요.

반면 고강도 규제를 피한 지역은 실거주 수요가 몰리며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전효성기자입니다.

<기자>

강남권 부동산 시장에 한파가 찾아왔습니다.

고공행진하며 집값 상승을 이끌던 강남4구는 12·16 대책 한 달 반 만에 하락전환(-0.03%)했습니다(강남 아파트 가격 33주 연속 상승 마감).

서울 전체로 봐도 6주 연속 상승폭을 줄였습니다.

거래량도 평년의 절반 수준입니다.

서울 주택시장이 이처럼 규제로 인해 주춤하는 사이, 일부 수도권과 지방은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주간 0.5%에 달하는 상승률을 기록 중인 대전이 대표적입니다.

비규제지역인 대전은 재건축·재개발 이슈(서구)와 개발호재(대덕구)를 앞세워 지난해 5대광역시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수원과 용인 일대도 집값 상승이 돋보이는데, 수원 권선구(+1.09%)와 영통구(+1.20%)는 이번 주에만 1% 넘는 기록적인 상승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용인은 사상 처음으로 몸값이 10억 원을 넘기는 단지도 나왔습니다.

[인터뷰] 서원석 / 중앙대 부동산학과 교수

"(서울은) 대출도 안되는 상황이고 다주택자들에 대해서는 보유하지 말라고 하고 있고요, (대출이 안되니) 지금 투자가 가능한 곳은 9억 원 미만, 저렴한 곳들이죠. 현금, 유동성이 충분한 사람들은 그런 곳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 당연한 것이겠죠."

서울 집값이 많이 올랐다고 판단하는 분위기인데다, 규제가 너무 강하다보니 규제가 없거나 강도가 약한 지역으로 수요가 옮겨간다는 분석입니다.

그동안 비인기 지역으로 꼽혀온 미분양 주택도 넉달 새 1만 5천 호 가까이 소진됐습니다(2019년 8월: 6만2,385호→12월: 4만7,797호).

높아진 청약 경쟁률과 까다로워진 대출규제로 인해 각종 호재가 있는 수도권 외곽지역과 기존의 비인기지역까지 반사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서울의 경우 소수 급매물을 제외하고는 매물이 풀리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추가 규제가 나오기 전까진 9억원 이하 주택의 반사효과는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국경제TV 전효성입니다.
서울 집값 하락 초읽기…수원·용인·대전 `역주행`
전효성기자 zeon@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