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일본 수출규제, 진전된 조치 재차 촉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남기 부총리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해 "원상회복을 위한 일본측의 진전된 조치를 재차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오늘(22일) 인천 소재 정밀화학소재기업인 경인양행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열고 "일본의 적절하지 않은 일방적 수출제한조치는 한일 양국에 공히 피해를 초래하고 글로벌 밸류체인(GVC·글로벌가치사슬)을 현격히 약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올해 3개 핵심품목에 대한 확실한 공급 안정화 작업을 마무리하고, 수출제한조치와 무관하게 100대 품목 전체에 대해서도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공급 안정화를 완수하겠다"며 "이를 위해 모든 가용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출규제조치 이후 그간의 성과도 설명했다.
그는 "총 2조원 이상 규모의 자발적 민간투자 및 글로벌 기업의 국내투자 확대가 구체화 됐다"며 "3대 수출규제 품목에 대한 공급 안정성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효성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1조원을 들여 전주 탄소섬유 공장을 증설할 예정이며, 현대모비스는 친환경차 부품을 2021년부터 양산한다는 목표로 3천억원을 투자한다. SK실트론과 현대차도 각각 듀폰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하고 미국 앱티브 테크놀로지스와 조인트 벤처(JV) 설립을 밝힌 바 있다.
정부도 지난해 추가경정예산 650억원, 올해 1천165억원을 포토레지스트 등 25개 핵심품목 연구개발(R&D)에 지원하고 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2차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사업 승인, 2020년 소재·부품·장비 시행계획, 100대 핵심전략품목의 맞춤형 전략, 소재·부품·장비 협력모델에 대한 정책금융지원 가이드라인 등이 안건으로 올랐다.
포토레지스트·이차전지·불소소재·탄소섬유·유압부품 등 6개 협력사업을 통해 국내 수요의 최대 60%까지 생산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4천억원 투자, 260명의 고용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2020년 소재·부품·장비 대책 시행계획을 통해서는 20개 이상 협력모델을 발굴하고 특화선도기업 100개를 육성하는 한편, 해외 인수·합병(M&A) 활성화와 국제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100대 핵심전략품목 중 기술 수준이 높고 생태계가 조성된 품목은 2~3년 내 조기 상용화에 집중하고 미흡한 품목은 수입국 다변화와 해외기술 도입 등을 통해 3~5년 내 중장기 공급 안정화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조현석기자 hscho@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홍 부총리는 오늘(22일) 인천 소재 정밀화학소재기업인 경인양행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열고 "일본의 적절하지 않은 일방적 수출제한조치는 한일 양국에 공히 피해를 초래하고 글로벌 밸류체인(GVC·글로벌가치사슬)을 현격히 약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올해 3개 핵심품목에 대한 확실한 공급 안정화 작업을 마무리하고, 수출제한조치와 무관하게 100대 품목 전체에 대해서도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공급 안정화를 완수하겠다"며 "이를 위해 모든 가용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출규제조치 이후 그간의 성과도 설명했다.
그는 "총 2조원 이상 규모의 자발적 민간투자 및 글로벌 기업의 국내투자 확대가 구체화 됐다"며 "3대 수출규제 품목에 대한 공급 안정성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효성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1조원을 들여 전주 탄소섬유 공장을 증설할 예정이며, 현대모비스는 친환경차 부품을 2021년부터 양산한다는 목표로 3천억원을 투자한다. SK실트론과 현대차도 각각 듀폰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하고 미국 앱티브 테크놀로지스와 조인트 벤처(JV) 설립을 밝힌 바 있다.
정부도 지난해 추가경정예산 650억원, 올해 1천165억원을 포토레지스트 등 25개 핵심품목 연구개발(R&D)에 지원하고 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2차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사업 승인, 2020년 소재·부품·장비 시행계획, 100대 핵심전략품목의 맞춤형 전략, 소재·부품·장비 협력모델에 대한 정책금융지원 가이드라인 등이 안건으로 올랐다.
포토레지스트·이차전지·불소소재·탄소섬유·유압부품 등 6개 협력사업을 통해 국내 수요의 최대 60%까지 생산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4천억원 투자, 260명의 고용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2020년 소재·부품·장비 대책 시행계획을 통해서는 20개 이상 협력모델을 발굴하고 특화선도기업 100개를 육성하는 한편, 해외 인수·합병(M&A) 활성화와 국제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100대 핵심전략품목 중 기술 수준이 높고 생태계가 조성된 품목은 2~3년 내 조기 상용화에 집중하고 미흡한 품목은 수입국 다변화와 해외기술 도입 등을 통해 3~5년 내 중장기 공급 안정화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조현석기자 hscho@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