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네이버 대표(사진=네이버)
한성숙 네이버 대표(사진=네이버)
네이버가 언론사에 지급하던 전재료(뉴스 콘텐츠 사용료)를 폐지하는 대신 구독에 기반한 광고 수익을 배분하기로 했다. 언론사들이 콘텐츠 형식과 소통 방식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편집 영역도 확대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2019 미디어 커넥트 데이' 행사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신규 뉴스 비즈니스 툴을 공개하고 언론사 구독 기반의 뉴스 통합관리시스템 '스마트 미디어 스튜디오'도 선보였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사진)는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역할은 궁극적으로 언론사와 이용자가 잘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네이버는 언론사와 함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기술적 도구와 데이터를 제공하는 파트너이자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내년 4월부터 네이버가 언론사에 지급하던 기존 전재료 모델을 네이버 뉴스에서 발생하는 광고 수익 제공 모델로 바꾼다.

지금까지 제공했던 모바일 네이버의 '언론사홈', '기사 본문' 영역 광고 수익에 더해 '언론사편집' 뉴스 영역과 '마이 뉴스'에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광고 수익도 언론사에 전액 제공한다.

'기사 본문 중간광고' 같은 신규 수익 영역도 추가된다. 언론사는 개별 영역 전체 광고(언론사홈, 기사 중간·하단 광고)에 대한 영업권도 직접 갖게 된다.

특히 언론사편집, 마이 뉴스 영역의 광고 수익은 사용자 구독과 로열티를 반영한 광고 수익 배분 공식에 따라 각 언론사에 배분한다. 해당 공식은 외부 연구진이 개발했으며 반영 팩터(factor)와 가중치까지 모두 공개했다.

네이버는 변경된 모델을 실제 운영한 뒤 언론사 수익이 지난 8개 분기 평균 수익보다 줄어들 경우 향후 3년간 별도 재원으로 감소분을 보전할 계획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 통합관리시스템 '스마트 미디어 스튜디오'는 내년 상반기 중 도입한다. 언론사들이 직접 언론사 프로필을 작성하고 섹션별·주제별 편집을 확대하게끔 했다. 알림·제보 등을 통해 적극 커뮤니케이션하는 등 이용자와의 소통 방식까지 직접 결정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스마트 미디어 스튜디오를 활용하면 네이버 플랫폼에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사들이 보다 자유로운 형식으로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텍스트나 영상, 음성, 웹툰 등 다양한 형식을 조합한 기사는 물론 언론사별로 차별화된 댓글·공감 정책을 펼쳐 각각 다른 이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네이버 페이포인트를 활용한 기사 유료화, 구독 기자 기사 게재시 네이버 알림 제공 같은 기존 네이버 서비스를 활용한 다양한 실험도 진행할 수 있다. 네이버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현재 언론사에 제공하는 42종의 데이터에 추가로 동영상 뉴스, 열독률 지표 등을 제공한다.

유봉석 네이버 서비스운영총괄은 "네이버는 그동안 자체 편집 영역을 꾸준히 없애고, 뉴스 댓글 운영 결정 권한을 언론사에 넘기는 등 뉴스 콘텐츠 전달 과정 개입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스마트 미디어 스튜디오 프로젝트는 이를 완성하기 위한 시도다. 네이버 언론사홈은 매체가 주인이 되어 직접 만들어가는 디지털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