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ASF 차단 위해 사료차 운행 시·도 단위 권역화하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충북, 인천 강화 ASF 농장과의 역학 농장 없어…통제초소 136개소로 확대
충북도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사료 등 축산 관련 배송 차량의 시도단위 권역화를 정부에 제안했다.
25일 충북도에 따르면 도는 전날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ASF 방역회의에서 이같이 건의했다.
현재 도는 사료공장이 ASF 발생지역 및 중점관리 시·군으로 사료를 배송하는 것을 금지했다.
하지만 ASF가 퍼진 경기도의 모든 사료 차를 막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접경지역 양돈농가는 역학 농장에 포함될 위험에 더 노출될 수밖에 없다.
역학 농장이 되면 3주간 이동제한 조처가 내려지기 때문에 농가에 상당한 손실이 따른다.
이에 도는 시·도 단위 권역화를 통해 ASF 전파 우려가 있는 배송 차량의 시·도 간 이동을 원천 차단하자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기존에 유지해오던 지역 간 유통 관계가 얽혀 있어 일순간 권역화는 어렵겠지만, 농림부에서도 면밀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도는 경기도 파주·연천·김포 농장에 이어 인천 강화군에서 5번째 ASF 확진 판정이 나옴에 따라 차단 방역을 한층 강화한 후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도내에는 강화 발생 농장과의 역학 농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23일 ASF가 발생한 경기 김포시 통진읍의 양돈 농가와 역학 관계가 확인된 음성군과 진천군의 양돈 농가 2곳도 의심할 만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두 농장은 김포 양돈 농가를 방문했던 차량이 다녀간 것으로 확인됐다.
도는 두 농장에 대한 이동제한 조처가 풀릴 때(음성 10월 10일, 진천 10월 12일)까지 예찰에 집중할 예정이다.
농가 간 차량 이동 등을 감시할 통제초소는 136개소로 늘어났다.
도는 지역 내 338개 양돈농가(62만8천마리)의 차량 이동을 면밀히 감시해야 하는 만큼 미진한 지역을 중심으로 통제초소를 지속해서 늘려갈 방침이다.
도내에는 17개 거점소독소도 운영 중이다.
/연합뉴스
충북도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사료 등 축산 관련 배송 차량의 시도단위 권역화를 정부에 제안했다.
25일 충북도에 따르면 도는 전날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ASF 방역회의에서 이같이 건의했다.
현재 도는 사료공장이 ASF 발생지역 및 중점관리 시·군으로 사료를 배송하는 것을 금지했다.
하지만 ASF가 퍼진 경기도의 모든 사료 차를 막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접경지역 양돈농가는 역학 농장에 포함될 위험에 더 노출될 수밖에 없다.
역학 농장이 되면 3주간 이동제한 조처가 내려지기 때문에 농가에 상당한 손실이 따른다.
이에 도는 시·도 단위 권역화를 통해 ASF 전파 우려가 있는 배송 차량의 시·도 간 이동을 원천 차단하자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기존에 유지해오던 지역 간 유통 관계가 얽혀 있어 일순간 권역화는 어렵겠지만, 농림부에서도 면밀히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도는 경기도 파주·연천·김포 농장에 이어 인천 강화군에서 5번째 ASF 확진 판정이 나옴에 따라 차단 방역을 한층 강화한 후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도내에는 강화 발생 농장과의 역학 농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23일 ASF가 발생한 경기 김포시 통진읍의 양돈 농가와 역학 관계가 확인된 음성군과 진천군의 양돈 농가 2곳도 의심할 만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두 농장은 김포 양돈 농가를 방문했던 차량이 다녀간 것으로 확인됐다.
도는 두 농장에 대한 이동제한 조처가 풀릴 때(음성 10월 10일, 진천 10월 12일)까지 예찰에 집중할 예정이다.
농가 간 차량 이동 등을 감시할 통제초소는 136개소로 늘어났다.
도는 지역 내 338개 양돈농가(62만8천마리)의 차량 이동을 면밀히 감시해야 하는 만큼 미진한 지역을 중심으로 통제초소를 지속해서 늘려갈 방침이다.
도내에는 17개 거점소독소도 운영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