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에 '청문회 개최' 공넘겨…"민주당 제안하면 판단할 것"
바른미래당와 특검·국정조사 등 검토…국회 보이콧·장외투쟁 등 원내외 투쟁 병행카드
한국당 "임명 강행땐 중대결심" 경고…'6일前 청문회' 대응 고심(종합)
자유한국당은 3일 청와대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오는 6일까지 재송부 해달라고 국회에 요청한 데 대해 '임명 강행 수순'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문 대통령이 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경우 바른미래당과 손을 잡고 특검과 국정조사 등 고강도 대응에 나서는 것은 물론이고, 국회 보이콧이나 장외투쟁을 비롯한 원내외 투쟁을 병행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나섰다.

그러나 한국당으로서는 청와대가 일단 6일까지 조 후보자 청문보고서를 제출해달라고 시한을 정함에 따라 대응이 고심스러울 수 밖에 없어 보인다.

한국당은 일단 '더불어민주당의 제안이 오면 판단하겠다'며 청문회 성사 여부의 공을 민주당에 넘겼지만, 민주당이 '6일 이전 청문회 개최'를 제안할 경우 어떤 답을 내놓일지 고민일 수밖에 없다.

청문회에 응할 경우 문재인 대통령이 조 장관을 임명하는 절차적 명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동안 주장해온 조 후보자 가족 등 핵심 증인들의 출석을 강제할 수 없다는 점도 부담이다.

다만 조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을 청문회 무대에서 거듭 쟁점화함으로써 조 후보자 임명 강행이 현실화할 경우 펼쳐질 대대적인 여론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전략을 택할 수도 있다.

반대로 마지막 남은 기회인 '6일 이전 청문회'를 거부할 경우 이미 청문회 법정 시한(9월 2일)을 넘긴 데 이어 막판까지 국회 본연의 임무를 져버렸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다.

그렇지만 임명 강행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청문회 없는 임명'을 명분 삼아 대여 투쟁의 고삐를 죌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나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한국당은 법대로 하는 청문회를 원하고 있다.

민주당이 (청문회 관련) 제안을 하면 판단하겠다"면서도 "청와대가 3일의 기간을 정한 것은 임명을 강행하겠다는 것이고 민주당에서 추가 제안은 없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국당이 이날 국회에서 연 '조국 반박 간담회'도 이 같은 딜레마에서 나온 자구책이라 할 수 있다.

한국당은 '조국 후보자의 거짓! 실체를 밝힌다'는 이름으로 자체 기자간담회를 열고 ▲ 딸 학사 비리 ▲ 사모펀드 ▲ 웅동학원과 부동산 의혹 등에 관한 전날 조 후보자의 주장을 반박했다.

전날 조 후보자의 해명에 대한 '반론권' 행사인 동시에 임명 강행에 대비한 사전 포석으로 해석된다.

한국당이 막판까지 검증 노력에 최선을 다했다는 메시지를 담았다는 것이다.

조 후보자 임명 강행 시 한국당의 향후 원내외 전략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검 및 국정조사 법안 발의, 해임건의안 제출, 대대적인 장외투쟁 등이 거론되면서 정기국회에서의 '조국 정국 시즌2' 가능성도 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조국 후보자의 거짓! 실체를 밝힌다'는 이름으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재송부 요청과 관련, "앞으로 하루 이틀 정도의 시간이 남아 있는데 청와대는 그대로 임명을 강행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나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다시 한번 개탄을 금할 수밖에 없다.

추후 (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때 한국당으로서는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나 원내대표는 '중대한 결심'이 어떤 것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나 원내외 투쟁을 병행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당내에서는 국회 보이콧이나 장외투쟁과 같은 카드가 어느정도 실효를 거둘지를 놓고는 엇갈린 시각이 나오고 있다.

나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가 국민의 소리를 듣지 않고 일반적인 상식에 반하는 임명을 강행할 때 국민과 함께 문재인 정부에 저항을 표시할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해보겠다"며 "이 정권의 실정을 밝히기 위해 국회를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또 이번 청문 정국에서 원내지도부의 전략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에 대해 "형식적인 청문회라도 하는 게 맞지 않겠느냐는 이야기인데, 어제 (조 후보자의 기자간담회에서) 증인과 자료 없는 청문회가 어떻게 됐는지 봤을 것"이라며 "자료도 없고 증인도 없는 청문회를 하게 되면 청문회 형식만 갖췄을 뿐이지 기자간담회와 크게 다를 수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