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보다 더 나빴다"...中 산업생산 17년만에 최저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장기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산업생산을 비롯한 중국의 7월 주요 경제 지표가 크게 부진하게 나오면서 중국의 경기 둔화 가속화 우려가 한층 커질 전망이다.

연초 내놓은 대규모 부양책에도 경기 둔화 우려가 여전하자 시장에서는 중국 정부가 새로운 경기 부양 조치를 내놓을지 주목하고 있다.

14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7월 산업생산은 작년 동월 대비 4.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달의 6.3%와 시장 전망치 6.0%에 모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치로써 2002년 이후 1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1∼7월 누적 산업생산 증가율도 작년 동기보다 5.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올해 중국 정부의 산업생산 증가율 목표는 5.5∼6.0%다.

시장의 예상에 크게 못 미쳐 `충격` 수준으로까지 평가되는 7월 산업생산 증가율 부진은 장기화하는 미중 무역전쟁의 불확실성이 초래한 결과로 분석된다.

로이터 통신은 "예상에 못 미친 약한 7월 데이터는 미국과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 경제의 균열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무디스 이코노미스트인 카트리나 엘은 블룸버그 통신에 "6월 데이터는 우려스럽다"며 "이는 수요와 공급 양측 모두의 약화에서 초래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예상 보다 더 나빴다"...中 산업생산 17년만에 최저
중국의 월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미국은 작년 7월부터 1년 넘게 상호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다.

양국은 고위급 무역 대화의 끈을 놓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완벽한 승리를 선언하고자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제2의 난징조약과 같은 굴욕적인 양보안을 결코 수용할 수 없다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입장이 첨예하게 맞서면서 양국 갈등의 상시화·장기화가 `뉴노멀`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정부가 애초 내달 1일부터 10% 관세가 예고된 3천억 달러어치 중국 제품 가운데 휴대전화, 노트북 등 특정 제품에 대해 부과 시점을 12월 15일로 늦추겠다고 전격적으로 발표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일제히 안도했다.

그러나 중국은 나머지 추가 관세 계획에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양국 갈등 국면을 풀 결정적 계기가 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날 발표된 다른 중국의 경제 지표들도 대체로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중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내수 시장의 활력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7월 작년 동월보다 7.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달의 9.8%와 시장 예상치 8.6%에 모두 미치지 못한 수치다.

중국 정부가 각 지방정부에 인프라 투자 속도를 높일 것을 독려 중인 가운데 1∼7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5.7%에 그쳐 연중 최저 수준에서 여전히 맴돌았다.

7월 기준 전국 도시 실업률은 전달보다 0.2%포인트 오른 5.3%로 집계돼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제성장률과 관련성이 높은 산업생산 증가율을 비롯한 여러 지표가 이처럼 부진하게 나오면서 중국은 올해 마지노선인 6% 경제성장률 사수에 비상이 걸렸다.

세계통화기금(IMF)은 지난 9일 펴낸 중국 경제 연례 보고서에서 미국의 새 추가 관세 부과가 없다는 전제하에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2%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남은 중국산 수입품의 관세를 25%로 인상하면 중국의 성장률은 향후 1년간 0.8%포인트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6.0∼6.5%` 구간으로 낮춰 잡은 중국 정부는 2조1천500억 위안 규모의 인프라 투자와 2조 위안 규모의 감세로 경기 둔화에 대응하고 있지만 올해 1분기와 2분기 경제성장률은 각각 6.4%와 6.2%를 기록하면서 하향 곡선을 그려나가고 있다.

특히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은 중국이 분기별 경제성장률 통계를 발표한 1992년 이후 2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중국이 사회 안정을 위한 마지노선으로 여기는 6.0%의 경제성장률 목표를 사수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검토할 수 있다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전문가들은 중국이 깊은 경기 침체를 방지하고 성장을 안정화하기 위해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수 있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여전히 부채 축소와 산업 구조 선진화 등 `높은 질적 발전` 노선을 강조하고 있다.

적어도 겉으로는 이런 기조를 계속 유지 중인 가운데 기준금리 인하나 대규모 추가 재정 투입 등의 강력한 추가 조치를 내놓는 데에는 여전히 신중한 모습을 보인다.

아울러 중국 당·정은 전례 없는 대외 위기인 미중 전면 갈등으로 인한 내부 충격을 막고자 중국 공산당 역사에서 가장 힘들었던 시기인 `대장정(大長征)`을 강조하면서까지 내부 결속을 다지고 있어 단기 대책에 급급하기보다는 상당한 고통을 감수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