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 경쟁력 확보 위해 R&D 정책 전환 절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총-공학·과학한림원 토론회서 기업대표들 한 목소리
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최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에 대한 과학기술계 대응방안' 토론회에서 "연구개발(R&D) 정책과 정책 추진 방식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 기업인들로부터 쏟아졌다.
소재 기업인 솔브레인의 박영수 부사장은 "단기적 성과에 치중하다 보니 개발 난도가 높은 연구를 안 했다.
장기적인 연구개발에 소홀했다"며 "앞으로는 따라올 수 없는 기술을 개발한다면 결실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소재 국산화에 R&D 자금을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사실 규모보다도 집행방식에 대한 점검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부품 분야 기업인 프리시스의 서진천 대표이사도 "앞으로는 전방위적인 제재, 국가 간의 레이스가 펼쳐질 텐데 어떻게 슬기롭게 대처할 건지에 주안점을 둬야 한다"며 "중장기적인 지원 체계를 가지고 (국산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이종수 메카로 사장은 "정부가 일관성 있게, 꾸준히 중소기업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정책을 추진했어야 했다"며 "중국의 경우 전방산업뿐 아니라 장비, 부품 등 후방산업의 중요성을 알고 지원하고 있지만 우린 육성책이 부족했다"고 짚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가능성에 대해 그는 '반반'이라고 진단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가능하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쉽지 않으리라고 내다봤다.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테스트베드'의 구축과 공무원이 아닌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콘트롤타워의 구성을 제안했다.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회장은 "혁신을 통해 1등을 하는 시대가 됐지만 우리는 혁신이 뭔지도 모른다"며 "혁신은 '리스크'를 극복할 때 가능하다.
근데 우리는 리스크를 지려고 하지 않는 게 문제"라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최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에 대한 과학기술계 대응방안' 토론회에서 "연구개발(R&D) 정책과 정책 추진 방식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 기업인들로부터 쏟아졌다.
소재 기업인 솔브레인의 박영수 부사장은 "단기적 성과에 치중하다 보니 개발 난도가 높은 연구를 안 했다.
장기적인 연구개발에 소홀했다"며 "앞으로는 따라올 수 없는 기술을 개발한다면 결실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소재 국산화에 R&D 자금을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사실 규모보다도 집행방식에 대한 점검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부품 분야 기업인 프리시스의 서진천 대표이사도 "앞으로는 전방위적인 제재, 국가 간의 레이스가 펼쳐질 텐데 어떻게 슬기롭게 대처할 건지에 주안점을 둬야 한다"며 "중장기적인 지원 체계를 가지고 (국산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이종수 메카로 사장은 "정부가 일관성 있게, 꾸준히 중소기업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정책을 추진했어야 했다"며 "중국의 경우 전방산업뿐 아니라 장비, 부품 등 후방산업의 중요성을 알고 지원하고 있지만 우린 육성책이 부족했다"고 짚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가능성에 대해 그는 '반반'이라고 진단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가능하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쉽지 않으리라고 내다봤다.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테스트베드'의 구축과 공무원이 아닌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콘트롤타워의 구성을 제안했다.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회장은 "혁신을 통해 1등을 하는 시대가 됐지만 우리는 혁신이 뭔지도 모른다"며 "혁신은 '리스크'를 극복할 때 가능하다.
근데 우리는 리스크를 지려고 하지 않는 게 문제"라고 진단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