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전장’은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위안부 피해자와 역사가, 사회운동가, 정치인, 옛 일본군 등 핵심 관계자 30여 명을 직접 인터뷰함으로써 각자의 입장을 들려준다. 특히 일본 극우인사들의 생각을 담아낸 것은 수확이다. 그들은 “공식 정부 문서 증거가 없기 때문에 피해자의 증언이 신뢰받지 못한다”며 2차 성폭력를 가하고 있다.
“한국인이나 일본인이라면 인터뷰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저를 믿고 속내를 열어줬는데, 만들고 보니 그들이 싫어할 수도 있겠다 싶더군요. 역사수정주의자를 비판했기 때문이죠. 감정적으로,정서적으로 어려운 작업이었습니다. ”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국민들에게 이 영화를 보지 말 것을 주문했다. 인터뷰에 응한 일부 인사들은 감독이 자신을 속였다며 소송을 걸겠다는 의사를 전해왔다. 데자키 감독은 “정식 소장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영화는 극우 인사들은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는 성향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들의 주장이 틀렸다는 사실을 다음 장면에서 설득력있는 증거로 제시한다. 위안부 문제는 한·일 간 외교문제에 국한되는 게 아니라 국제법상 여성 인권에 대한 문제라고 고발한다.
“위안부 문제를 국제법상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만들고 싶었어요. ‘성노예’‘강제징집’ 등의 용어에 대해서도 국제법적으로 정의하고 싶습니다. 지금은 각자 쓰는 용어와 개념이 달라요.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공동 언어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것이 안되면 같은 이야기가 반복될 뿐입니다. ”
영화는 아베 정권의 이면도 탐구한다. 위안부 이슈를 덮기 위해 교과서 검열, 언론 통제, 미국을 향한 선전 활동 등을 펼치는 모습을 담았다. 일본에 우호적인 기사를 쓰도록 미국의 한 기자를 매수했던 일본인도 인터뷰를 했다. 아베 정권은 교과서에서 위안부 문제를 없애고 왜곡을 시도하고 있다. 코바야시 세츠 헌법학 교수는 “그들은 명백히 전쟁 전의 일본을 신봉하고 있다”며 “그들이 바라는 헌법 개정을 곧 착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기시됐던 이슈도 끌어낸다. 1990년대가 되어서야 위안부 문제에 대해 논쟁이 시작된 이유는 바로 한국이 가부장적인 국가였기 때문이다. 성적 순결을 잃은 여성을 가족의 수치, 공동체의 수치로 봤던 분위기 때문에 여성들이 피해자였음에도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고 증언한다.
이 영화는 지난 4월 일본 도쿄에서 처음 개봉한 후 매진을 기록했다. 후쿠오카, 오사카 등 여러 도시들에서 잇따라 개봉해 3만명 이상 모으며 장기 상영에 들어갔다. 작은 영화로서는 양호한 흥행 성적이다.
데자키 감독은 “영화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언론이 위안부 문제를 얼마나 편협하게 다루고 있는지 알았으면 한다”며 “이 영화를 계기로 양국이 서로에 대한 증오심에서 벗어나 위안부나 다른 역사 문제들에 대해 생산적인 대화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유재혁 대중문화 전문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