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車보험서 지급한 부품비 12%↑…수입차 20%↑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산차도 8% 증가…"대체부품 활성화·부품가격 공개해야"
자동차보험에서 지급하는 부품비용이 지난해 12.5% 급증했다.
특히 수입차(외산차) 부품비가 20.5%나 늘었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상위 4개 손해보험사가 지난해 수리비로 지급한 보험금 가운데 부품비용은 2조3천664억원으로 조사됐다.
2017년 2조1천27억원에 비해 12.5% 늘어난 수치다.
국산차 부품비는 전년보다 8.4% 증가한 1조5천73억원, 수입차는 20.5%나 늘어 8천591억원에 이른다.
수입차에 들어간 부품비 증가 폭이 큰 것은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부품비가 비싼 데다 등록 대수가 꾸준히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개별 부품값의 증감률을 따져보면 수입차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국산차 인상률이 가파르다.
국내 한 손보사가 범퍼, 펜더(흙받기), 도어(문짝) 등 15개 부품을 기준으로 올해 1∼5월 국산차 5개사에 지급한 평균 부품가격을 집계했더니, 평균 21만8천340원으로 지난해보다 3.7% 올랐다.
지난해 평균 부품가격은 21만555원으로 전년보다 5.4% 높았다.
특히 시장점유율이 높은 현대·기아차의 인상률은 각각 4.5%, 5.1%로 르노삼성(2.8%) 등 다른 업체보다 두드러지게 높다.
올해 1∼5월 수입차 주요 모델의 평균 부품가격은 82만6천320원이었다.
부품가격 자체는 국산차의 4배 수준이지만 인상률은 1.1%로 낮았다.
자동차 부품비는 자동차 등 대물 피해를 보장하는 '물적담보'의 보험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이 같은 부품가격 상승세는 결과적으로 자동차 보험료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부품값 인상은 결국 보험 가입자 모두가 부담을 나눠서 지면서 사회적 비용으로 연결된다"며 "도로에 수입차가 급증하는데 사고가 나면 수입차끼리만 부딪친다는 보장은 없다"고 지적했다.
손보업계는 일단 보험금 누수를 막기 위한 개선방안을 찾는 데 고심하고 있다.
이미 법으로 규정된 정비업체의 '대체부품 설명의무' 이행을 강화하고, 지난해 도입된 자동차보험 대체부품 특약 환급률을 끌어올리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자동차관리법은 정비업체가 차주 등에게 대체부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알려줘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이를 지키는 업체는 매우 드문 게 현실이다.
여기에 지난해 2월 소비자가 차량을 수리할 때 '순정부품' 대신 '인증부품'을 쓰면 부품값의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주는 자동차보험 특약 상품이 출시됐지만, 이를 활용해 환급받은 건수는 1년간 9건에 불과하다.
중간 공급망의 차이로 인증부품이 순정부품보다 25%가량 더 싸지만, 품질 차이는 거의 없다.
다만 7개 외장부품의 가벼운 손상은 교체하는 대신 수리로 끝내도록 바뀐 보상기준이 정착되면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과도한 수리비 지출을 막고 보험료 인상을 예방하기 위해 장기적으로는 부품가격 공개시스템 마련 등 제도개선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특히 수입차(외산차) 부품비가 20.5%나 늘었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상위 4개 손해보험사가 지난해 수리비로 지급한 보험금 가운데 부품비용은 2조3천664억원으로 조사됐다.
2017년 2조1천27억원에 비해 12.5% 늘어난 수치다.
국산차 부품비는 전년보다 8.4% 증가한 1조5천73억원, 수입차는 20.5%나 늘어 8천591억원에 이른다.
수입차에 들어간 부품비 증가 폭이 큰 것은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부품비가 비싼 데다 등록 대수가 꾸준히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개별 부품값의 증감률을 따져보면 수입차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국산차 인상률이 가파르다.
국내 한 손보사가 범퍼, 펜더(흙받기), 도어(문짝) 등 15개 부품을 기준으로 올해 1∼5월 국산차 5개사에 지급한 평균 부품가격을 집계했더니, 평균 21만8천340원으로 지난해보다 3.7% 올랐다.
지난해 평균 부품가격은 21만555원으로 전년보다 5.4% 높았다.
특히 시장점유율이 높은 현대·기아차의 인상률은 각각 4.5%, 5.1%로 르노삼성(2.8%) 등 다른 업체보다 두드러지게 높다.
올해 1∼5월 수입차 주요 모델의 평균 부품가격은 82만6천320원이었다.
부품가격 자체는 국산차의 4배 수준이지만 인상률은 1.1%로 낮았다.
자동차 부품비는 자동차 등 대물 피해를 보장하는 '물적담보'의 보험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이 같은 부품가격 상승세는 결과적으로 자동차 보험료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부품값 인상은 결국 보험 가입자 모두가 부담을 나눠서 지면서 사회적 비용으로 연결된다"며 "도로에 수입차가 급증하는데 사고가 나면 수입차끼리만 부딪친다는 보장은 없다"고 지적했다.
손보업계는 일단 보험금 누수를 막기 위한 개선방안을 찾는 데 고심하고 있다.
이미 법으로 규정된 정비업체의 '대체부품 설명의무' 이행을 강화하고, 지난해 도입된 자동차보험 대체부품 특약 환급률을 끌어올리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자동차관리법은 정비업체가 차주 등에게 대체부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알려줘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이를 지키는 업체는 매우 드문 게 현실이다.
여기에 지난해 2월 소비자가 차량을 수리할 때 '순정부품' 대신 '인증부품'을 쓰면 부품값의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주는 자동차보험 특약 상품이 출시됐지만, 이를 활용해 환급받은 건수는 1년간 9건에 불과하다.
중간 공급망의 차이로 인증부품이 순정부품보다 25%가량 더 싸지만, 품질 차이는 거의 없다.
다만 7개 외장부품의 가벼운 손상은 교체하는 대신 수리로 끝내도록 바뀐 보상기준이 정착되면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과도한 수리비 지출을 막고 보험료 인상을 예방하기 위해 장기적으로는 부품가격 공개시스템 마련 등 제도개선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