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대통령 아들과 사위도 질병 유발자냐"…게임 개발자들 '분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HO '게임중독=질병'에 게임업계 반발
게임업계 종사자 63만명 '생존권' 위협
'질병 유발 물질 생산자' 낙인 등 걱정
"지금이라도 대책 마련"…자성 목소리도
게임업계 종사자 63만명 '생존권' 위협
'질병 유발 물질 생산자' 낙인 등 걱정
"지금이라도 대책 마련"…자성 목소리도
세계보건기구(WHO)의 게임 중독 질병 등재 논란이 사그라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게임산업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질병 유발 물질 생산자로 낙인찍어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게임업계가 논란을 자초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부터 정부의 뒷북 대응을 비판하는 주장까지 다양하다.
한국게임개발자협회는 28일 경기도 글로벌게임허브센터에서 'WHO 게임 질병 코드 부여 및 국내 도입 반대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에는 한국인디게임협회, 넥슨 노동조합, 스마일게이트 노동조합 등이 이름을 올렸다. 개성 강한 게임 개발자들이 단체 행동에 나서는 건 전례없는 일이다.
같은 날 세종시 정부청사에서는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부처 차관회의가 열렸다. WHO 개정안에 찬성하는 보건복지부와 반대하는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가 대책 마련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게임 개발자들은 "국내 게임산업을 개척했다는 자긍심을 갖고 게임을 개발했는데 돌아온 건 질병 유발 물질 생산자라는 낙인"이라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더욱이 "우리를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중독 물질 생산자로 치부하는 상황을 참을 수 없다"며 WHO의 게임 중독 질병 코드 등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국내 게임업계 종사자는 63만명이 넘는데 이들에게 WHO의 결정은 생존권과 직결된 문제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추산대로 3년간 게임 매출 10조원, 고용 인원 9000명이 축소될 경우 이들은 생존권을 위협받게 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당장 생존권이 보장되더라도 질병을 유발하는 산업에 종사한다는 낙인은 피할 수 없다. 개발 스튜디오 관계자는 "WHO와 복지부의 논리대로라면 게임 산업에 몸담았던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과 사위도 질병 유발 물질 생산에 일조한 것"이라며 "예방과 치료라는 그럴싸한 명목으로 산업 종사자들을 내몰아선 안 된다"고 했다.
실제 문 대통령의 아들은 게임 개발 스타트업인 '티노게임즈'의 창립 멤버로 디자인 업무를 담당했던 경력이 있다. 사위인 서모씨도 중소 게임업체인 '토리게임즈'에서 기획 및 사업담당을 담당했는데, 서모씨 입사 후 토리게임즈의 외부 차입금 규모가 300배 이상 늘어나면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두 사람은 현재 게임업계에서 떠난 상태다.
한편 게임업계와 문체부의 반발이 거세지자 국무조정실이 직접 나섰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열린 간부회의에서 "관계 부처는 향후 대응을 놓고 조정되지도 않은 의견을 말해 국민과 업계에 불안을 드려선 안 된다"며 "충분한 논의를 통해 건전한 게임이용 문화와 게임산업을 발전시키는 지혜로운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하면서 게임업계를 중심으로 자성의 목소리도 나온다. 그동안 눈앞의 이득에만 집중한 만큼 이번 일을 계기로 산업 전반을 살펴 국민들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중앙대 교수)은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어디서 왔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국게임개발자협회는 28일 경기도 글로벌게임허브센터에서 'WHO 게임 질병 코드 부여 및 국내 도입 반대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에는 한국인디게임협회, 넥슨 노동조합, 스마일게이트 노동조합 등이 이름을 올렸다. 개성 강한 게임 개발자들이 단체 행동에 나서는 건 전례없는 일이다.
같은 날 세종시 정부청사에서는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부처 차관회의가 열렸다. WHO 개정안에 찬성하는 보건복지부와 반대하는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가 대책 마련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게임 개발자들은 "국내 게임산업을 개척했다는 자긍심을 갖고 게임을 개발했는데 돌아온 건 질병 유발 물질 생산자라는 낙인"이라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더욱이 "우리를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중독 물질 생산자로 치부하는 상황을 참을 수 없다"며 WHO의 게임 중독 질병 코드 등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국내 게임업계 종사자는 63만명이 넘는데 이들에게 WHO의 결정은 생존권과 직결된 문제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추산대로 3년간 게임 매출 10조원, 고용 인원 9000명이 축소될 경우 이들은 생존권을 위협받게 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당장 생존권이 보장되더라도 질병을 유발하는 산업에 종사한다는 낙인은 피할 수 없다. 개발 스튜디오 관계자는 "WHO와 복지부의 논리대로라면 게임 산업에 몸담았던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과 사위도 질병 유발 물질 생산에 일조한 것"이라며 "예방과 치료라는 그럴싸한 명목으로 산업 종사자들을 내몰아선 안 된다"고 했다.
실제 문 대통령의 아들은 게임 개발 스타트업인 '티노게임즈'의 창립 멤버로 디자인 업무를 담당했던 경력이 있다. 사위인 서모씨도 중소 게임업체인 '토리게임즈'에서 기획 및 사업담당을 담당했는데, 서모씨 입사 후 토리게임즈의 외부 차입금 규모가 300배 이상 늘어나면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두 사람은 현재 게임업계에서 떠난 상태다.
한편 게임업계와 문체부의 반발이 거세지자 국무조정실이 직접 나섰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열린 간부회의에서 "관계 부처는 향후 대응을 놓고 조정되지도 않은 의견을 말해 국민과 업계에 불안을 드려선 안 된다"며 "충분한 논의를 통해 건전한 게임이용 문화와 게임산업을 발전시키는 지혜로운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하면서 게임업계를 중심으로 자성의 목소리도 나온다. 그동안 눈앞의 이득에만 집중한 만큼 이번 일을 계기로 산업 전반을 살펴 국민들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중앙대 교수)은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어디서 왔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