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뿐 아니었다...중국發 `프레온가스` 대량 유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제적으로 사용 금지된 오존층 파괴 물질 `CFC-11`(프레온가스)이 중국에서 지난 수년간 다량 배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연구재단은 박선영 경북대 교수 연구팀이 이런 사실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프레온가스 배출지역 분포 [한국연구재단 제공]
성층권 오존층은 유해 자외선을 차단하는 지구의 보루다.
CFC-11 같은 염화불화탄소는 이 오존층을 파괴하는 데 관여한다.
전 세계는 에어컨 냉매나 우레탄폼 발포제 등 제조에 활용하던 CFC-11을 감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를 시작으로 2010년에는 중국을 포함한 모든 개발도상국에서 사용·생산을 전면 금지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후 지구 대기 중 CFC-11 농도는 일정하게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2년을 기점으로 CFC-11 감소 속도가 갑자기 눈에 띄게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해 발표됐다.
생산 시설이 상대적으로 적은 남반구 농도가 점진적으로 내리막이던 현상과는 달리 북반구 농도 변화는 들쭉날쭉했다.
간격을 좁혀가던 북반구와 남반구 간 농도 차이가 점점 벌어지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이는 2012년 이후 북반구 어딘가에서 CFC-11이 새롭게 배출되고 있다는 추정으로 이어졌는데, 미국 하와이섬 자료와 기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동북아시아로 범위가 좁혀졌다. 제주도와 하테루마섬에서 관측된 대기 중 프레온가스 농도
박선영 교수팀은 동북아 대표적 온실기체 관측지인 제주도 고산 경북대 온실기체 관측센터에서 2008∼2017년 실시간 연속 측정한 CFC-11 농도 자료를 살폈다.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하테루마섬 관측소 자료를 대기·화학 역추적 모델로 뜯어보기도 했다.
그 결과 최근 보고된 CFC-11 배출 증가량 상당 부분이 산둥성과 허베이성 등 중국 동부에서 기원한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이런 경향은 2013년 이후에 두드러졌다.
해당 기간 중국에서 추가로 늘어난 배출량은 연간 7천t에 이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전 지구 프레온가스 증가량의 40∼6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런 상황은 지금까지 유엔 환경계획(UNEP) 오존사무국(Ozone Secretariats)에 정식으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이전에 만들어진 건축물이나 냉장시설에 쓰인 단열재에서 CFC-11이 배출된 것 아니냐는 가정도 해볼 수 있다.
이 가능성은 기존 단열재로부터의 유출 예측치가 매우 작아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박선영 교수는 "현재로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 배출 증가가 나타났는지 단정할 수 없을 것"이라며 "실제 생산된 전체 프레온가스 양의 일부일 수도 있고, 프레온가스가 들어간 새로운 단열재에서 지속적인 추가 배출이 진행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a) 2008∼2012년 평균 프레온가스 배출량 지역 분포.(b) 2014∼2017년 평균 배출량 지역 분포.(c) 두 기간 사이 배출량 변화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연구재단은 박선영 경북대 교수 연구팀이 이런 사실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프레온가스 배출지역 분포 [한국연구재단 제공]
성층권 오존층은 유해 자외선을 차단하는 지구의 보루다.
CFC-11 같은 염화불화탄소는 이 오존층을 파괴하는 데 관여한다.
전 세계는 에어컨 냉매나 우레탄폼 발포제 등 제조에 활용하던 CFC-11을 감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를 시작으로 2010년에는 중국을 포함한 모든 개발도상국에서 사용·생산을 전면 금지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후 지구 대기 중 CFC-11 농도는 일정하게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2년을 기점으로 CFC-11 감소 속도가 갑자기 눈에 띄게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해 발표됐다.
생산 시설이 상대적으로 적은 남반구 농도가 점진적으로 내리막이던 현상과는 달리 북반구 농도 변화는 들쭉날쭉했다.
간격을 좁혀가던 북반구와 남반구 간 농도 차이가 점점 벌어지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이는 2012년 이후 북반구 어딘가에서 CFC-11이 새롭게 배출되고 있다는 추정으로 이어졌는데, 미국 하와이섬 자료와 기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동북아시아로 범위가 좁혀졌다. 제주도와 하테루마섬에서 관측된 대기 중 프레온가스 농도
박선영 교수팀은 동북아 대표적 온실기체 관측지인 제주도 고산 경북대 온실기체 관측센터에서 2008∼2017년 실시간 연속 측정한 CFC-11 농도 자료를 살폈다.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하테루마섬 관측소 자료를 대기·화학 역추적 모델로 뜯어보기도 했다.
그 결과 최근 보고된 CFC-11 배출 증가량 상당 부분이 산둥성과 허베이성 등 중국 동부에서 기원한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이런 경향은 2013년 이후에 두드러졌다.
해당 기간 중국에서 추가로 늘어난 배출량은 연간 7천t에 이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전 지구 프레온가스 증가량의 40∼6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런 상황은 지금까지 유엔 환경계획(UNEP) 오존사무국(Ozone Secretariats)에 정식으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이전에 만들어진 건축물이나 냉장시설에 쓰인 단열재에서 CFC-11이 배출된 것 아니냐는 가정도 해볼 수 있다.
이 가능성은 기존 단열재로부터의 유출 예측치가 매우 작아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박선영 교수는 "현재로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 배출 증가가 나타났는지 단정할 수 없을 것"이라며 "실제 생산된 전체 프레온가스 양의 일부일 수도 있고, 프레온가스가 들어간 새로운 단열재에서 지속적인 추가 배출이 진행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a) 2008∼2012년 평균 프레온가스 배출량 지역 분포.(b) 2014∼2017년 평균 배출량 지역 분포.(c) 두 기간 사이 배출량 변화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