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육아`...부모님 허리건강에 부담되고 허리디스크·척추관협착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5~60대 노후를 즐기기에도 바쁜 시기에 손주를 돌보는 황혼육아를 하는 조부모에게서는 허리디스크와 같은 척추관협착증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연세가 있는 부모님들이 체중이 10kg 가까이 나가는 아이를 다루는 만큼 온 몸의 근육이 긴장하고 압력을 받아 이미 노화와 디스크 퇴행이 진행된 신체에 치명적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척추관 협착증이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진 상태를 말한다. 척추관 내벽이 좁아져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에 압박이 가해지면서 통증과 마비가 동시에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척추관 협착증은 대부분 퇴행성에 의한 것으로 초기 증상은 퇴행성 척추염과 비슷하여 서서히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허리에 막연한 통증과 뻣뻣함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질 때에는 통증, 마비, 경련, 저림, 근력 약화 등이 나타난다.

`척추관 협착증` 환자 대부분은 둔한 쑤시는 통증을 호소한다. 그 외에는 감각 이상, 근력 약화, 쥐가 나는 감각을 느끼게 된다.

일반적으로 척추 뼈와 뼈 사이 구조물인 디스크가 탈출되어 다리 저림과 보행에 지장을 겪게 되는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허리디스크는 환자들마다 비슷한 고통을 호소하고 허리를 구부릴 때 엉치까지 광범위한 통증이 발생하는 반면, 척추관 증상은 자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허리를 펼 때 증상은 악화되고 구부릴 때 호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 증상이 의심된다면 초기에는 운동을 제한하고 약물치료나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두 증상 모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거나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수 있어 초기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증상이 심각하고 근력 저림과 허리와 다리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아 비수술적 치료를 받아볼 것을 권한다.

이에 비수술적 치료 방법인 신경성형술은 통증의 원인인 신경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신경성형술은 두께 1mm 길이 50cm의 움직일 수 있는 관을 꼬리뼈쪽으로 삽입한 뒤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 주변을 박리해주고 염증조직 제거와 부종을 가라앉게 해주는 시술로, 허리질환에 의한 통증을 조절하는 비수술적 방법 중에서도 일차적인 치료로 추천된다.

안산신경외과 안산21세기병원 척추센터 김관식원장은 "허리질환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최근 비수술치료로는 신경성형술, 페인스크램블러, 선택적신경치료, 무중력감압치료(MID), 체외충격파치료(ESWT), 통증치료, 도수, 운동치료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나와 수술법으로 접근이 어려운 부분까지 일차적 치료가 가능해 회복 속도가 빠르고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들에게도 만족도가 높다"고 전했다.

안산21세기병원 척추센터 김관식원장은 "최근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손주를 돌보는 노년층 환자들 사이에서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디스크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척추관 협착증과 허리디스크는 초기 치료를 우선시하되 계속 재발하는 경우 비수술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허리근육을 강화하는 민간요법으로 척추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뼈 건강을 올바르게 유지하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전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