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무릎 통증 `반월상 연골 손상`, "파열되면 나타나는 증상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 중 하나인 무릎 관절은 항상 사용하기 때문에 손상 가능성이 높고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증상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반월상 연골 손상은 가장 흔한 무릎 손상 질환 중 하나로, 관절 내부에 반달 모양으로 척추 뼈 위, 아래 관절 사이에 위치하여 있으며,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무리한 운동, 외부의 충격, 부상, 퇴행 등으로 인하여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거나 찢어져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반월상 연골 파열`이라고 부른다.
반월상 연골의 증상으로는 무릎이 붓고 통증이 발생하며, 관절을 움직일 때 불편함을 느끼며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날 때, 갑자기 방향을 틀거나 바꿀 때 통증이 생긴다. 또, 계단을 내려가거나 내리막길을 걸을 때 무릎이 무기력하고 불안정감을 호소하며 관절 내에 물이 차서 붓거나 관절을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증상이 있다.
원인으로는 과격한 운동이나 순간적인 방향 전환, 급정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퇴행성 변화로 인해 특별한 외상이 없어도 발병할 수 있기 때문에 고위험군 환자는 각별히 주의하는 것이 좋다.
치료는 비수술 치료와 수술치료로 나눠볼 수 있다. 불완전 파열이나 작은 변연부의 파열은 무릎 안의 다른 병변이 없는 경우 경우 통증과 부종, 염증 증상을 완화하는 진통제나 물리치료, 프롤로 세러피로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에 구리 참튼튼병원 관절외과 이종희 원장은 "만약 연골판 손상 정도가 크고 통증과 부종, 무릎의 불안정한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라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손상된 연골판을 봉합 또는 절제하는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관절내시경은 무릎관절에 약 5~10mm 정도의 최소화된 구멍을 통해 내부로 진입하고, 내시경을 통해 실시간으로 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이와 동시에 치료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관절 속을 보면서 연골판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관절이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구조물의 부딪힘 등을 볼 수 있어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다"며 "절제한 경우에도 대부분 바로 일상생활을 시작하기 때문에 심리적 부담감을 덜 수 있다`고 덧붙였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그 중 반월상 연골 손상은 가장 흔한 무릎 손상 질환 중 하나로, 관절 내부에 반달 모양으로 척추 뼈 위, 아래 관절 사이에 위치하여 있으며,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무리한 운동, 외부의 충격, 부상, 퇴행 등으로 인하여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거나 찢어져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반월상 연골 파열`이라고 부른다.
반월상 연골의 증상으로는 무릎이 붓고 통증이 발생하며, 관절을 움직일 때 불편함을 느끼며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날 때, 갑자기 방향을 틀거나 바꿀 때 통증이 생긴다. 또, 계단을 내려가거나 내리막길을 걸을 때 무릎이 무기력하고 불안정감을 호소하며 관절 내에 물이 차서 붓거나 관절을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증상이 있다.
원인으로는 과격한 운동이나 순간적인 방향 전환, 급정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퇴행성 변화로 인해 특별한 외상이 없어도 발병할 수 있기 때문에 고위험군 환자는 각별히 주의하는 것이 좋다.
치료는 비수술 치료와 수술치료로 나눠볼 수 있다. 불완전 파열이나 작은 변연부의 파열은 무릎 안의 다른 병변이 없는 경우 경우 통증과 부종, 염증 증상을 완화하는 진통제나 물리치료, 프롤로 세러피로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에 구리 참튼튼병원 관절외과 이종희 원장은 "만약 연골판 손상 정도가 크고 통증과 부종, 무릎의 불안정한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라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손상된 연골판을 봉합 또는 절제하는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관절내시경은 무릎관절에 약 5~10mm 정도의 최소화된 구멍을 통해 내부로 진입하고, 내시경을 통해 실시간으로 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이와 동시에 치료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관절 속을 보면서 연골판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관절이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구조물의 부딪힘 등을 볼 수 있어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다"며 "절제한 경우에도 대부분 바로 일상생활을 시작하기 때문에 심리적 부담감을 덜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