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빚 증가속도 세계 3위…가계부채 GDP와 유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대출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한국의 가계빚 증가속도는 세계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올 3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다. 가계부채 규모가 국내 경제 규모와 거의 비슷한 셈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3%포인트 상승했다. 상승폭은 BIS가 집계한 43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3.7%포인트)과 홍콩(3.5%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지난해 중반부터 정부가 부동산 대책의 일환으로 대출을 옥죄는 정책을 본격 추진했지만 증가세를 막지는 못했다. 주요 대책이 발표되고 난 2017년 9월 말 이후로도 6개월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포인트 올라갔다.홍콩(1.7%포인트) 호주(1.4%포인트) 중국(1.3%포인트)에 이어 상승폭이 세계 4위다. 순위가 한 계단 내려서는 데 그쳤다.
올 1분기에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0.4%포인트 상승하며 중국(0.9%포인트) 스위스(0.6%포인트) 호주(0.5%포인트)에 이어 세계 4위다. 1분기만 놓고 보면 올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 상승폭은 2002년(3%포인트) 이래 16년 만에 가장 크다.
정부는 작년에 6·19 대책, 8·2 대책 등 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추고 대출심사를 깐깐하게 하는 방안을 내놨다. 10월에는 2018년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조기 도입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경제 성장세는 둔화된 반면 규제를 피해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전세대출 등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이 배경으로 꼽힌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7위다. 스위스(128.3%) 호주(122.2%) 덴마크(117.3%) 네덜란드(104.3%) 노르웨이(101.6%) 캐나다(99.4%) 다음이다.
가계부채는 소득에 비해서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1분기 가계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BIS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2.2로, 2011년 말과 같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처분가능소득의 약 1.6배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올 3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다. 가계부채 규모가 국내 경제 규모와 거의 비슷한 셈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3%포인트 상승했다. 상승폭은 BIS가 집계한 43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3.7%포인트)과 홍콩(3.5%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지난해 중반부터 정부가 부동산 대책의 일환으로 대출을 옥죄는 정책을 본격 추진했지만 증가세를 막지는 못했다. 주요 대책이 발표되고 난 2017년 9월 말 이후로도 6개월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포인트 올라갔다.홍콩(1.7%포인트) 호주(1.4%포인트) 중국(1.3%포인트)에 이어 상승폭이 세계 4위다. 순위가 한 계단 내려서는 데 그쳤다.
올 1분기에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0.4%포인트 상승하며 중국(0.9%포인트) 스위스(0.6%포인트) 호주(0.5%포인트)에 이어 세계 4위다. 1분기만 놓고 보면 올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 상승폭은 2002년(3%포인트) 이래 16년 만에 가장 크다.
정부는 작년에 6·19 대책, 8·2 대책 등 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추고 대출심사를 깐깐하게 하는 방안을 내놨다. 10월에는 2018년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조기 도입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경제 성장세는 둔화된 반면 규제를 피해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전세대출 등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이 배경으로 꼽힌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7위다. 스위스(128.3%) 호주(122.2%) 덴마크(117.3%) 네덜란드(104.3%) 노르웨이(101.6%) 캐나다(99.4%) 다음이다.
가계부채는 소득에 비해서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1분기 가계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BIS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2.2로, 2011년 말과 같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처분가능소득의 약 1.6배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