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장 받고 공사판으로… '단순노무' 청년 25만명 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졸업 청년층 단순노무직 비중 7.7%…2004년 통계 집계 이후 최고
휴학·재학생 제외한 통계…"청년 일자리 문제 심각성 반영"
학교를 떠나 본격적으로 사회활동을 시작한 청년(15∼29세) 중 건설노동 등 단순노무직 비중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4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수년간 계속된 실업률 고공행진에 더해 최근 노동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 정책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청년 신규 채용이 위축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한 청년층 중 단순노무에 종사하는 청년은 올해 5월 기준으로 1년 전보다 2만7천명 늘어난 25만3천명이었다.
통계 분류상 '단순노무'는 건설현장의 소위 '막노동'이나 주유, 음식배달 등 보조 업무 성격의 일을 뜻한다.
졸업·중퇴 청년의 단순노무직 비중은 전체(330만1천명)의 7.7%에 달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5월에도 졸업·청년층 단순노무직이 큰 폭으로 늘며 23만7천명까지 치솟았지만 비중은 7.0% 수준이었다.
역대 두 번째로 높지만 올해보단 0.7%포인트나 낮다.
통계청이 졸업·중퇴 청년을 별도로 집계하는 이유는 휴학·재학생을 제외함으로써 사회활동에 뛰어든 청년들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본격적으로 사회활동을 시작했지만 주유 보조나 건설현장 등을 전전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최근 청년층 일자리 사정이 나쁘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졸업·중퇴 청년층 고용 악화는 최근 수년간 계속된 '실업률 고공행진'으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이 큰 차이를 보이면서 나타난 불가피한 결과라는 해석이다.
청년층 실업률은 2014년 9.0%까지 상승하며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고, 4년째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지난해 9.8%까지 치솟았다.
올해 최저임금 인상, 노동시간 단축 등 노동정책을 둘러싼 논란이 신규 채용 발목을 잡는 불확실성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의 고용 정책이 노동 비용을 끌어올리는 원인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일자리가 충분히 늘지 못하고 있고 결국 청년층이 단순노무직으로 밀려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취업이 안 되면 생활비를 벌어야 하는데 일자리 여건이 좋지 않으면 건설현장 등으로 나갈 수 있다"며 "이런 상황이 통계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휴학·재학생 제외한 통계…"청년 일자리 문제 심각성 반영"
학교를 떠나 본격적으로 사회활동을 시작한 청년(15∼29세) 중 건설노동 등 단순노무직 비중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4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수년간 계속된 실업률 고공행진에 더해 최근 노동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 정책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청년 신규 채용이 위축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한 청년층 중 단순노무에 종사하는 청년은 올해 5월 기준으로 1년 전보다 2만7천명 늘어난 25만3천명이었다.
통계 분류상 '단순노무'는 건설현장의 소위 '막노동'이나 주유, 음식배달 등 보조 업무 성격의 일을 뜻한다.
졸업·중퇴 청년의 단순노무직 비중은 전체(330만1천명)의 7.7%에 달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5월에도 졸업·청년층 단순노무직이 큰 폭으로 늘며 23만7천명까지 치솟았지만 비중은 7.0% 수준이었다.
역대 두 번째로 높지만 올해보단 0.7%포인트나 낮다.
통계청이 졸업·중퇴 청년을 별도로 집계하는 이유는 휴학·재학생을 제외함으로써 사회활동에 뛰어든 청년들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본격적으로 사회활동을 시작했지만 주유 보조나 건설현장 등을 전전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최근 청년층 일자리 사정이 나쁘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졸업·중퇴 청년층 고용 악화는 최근 수년간 계속된 '실업률 고공행진'으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이 큰 차이를 보이면서 나타난 불가피한 결과라는 해석이다.
청년층 실업률은 2014년 9.0%까지 상승하며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고, 4년째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지난해 9.8%까지 치솟았다.
올해 최저임금 인상, 노동시간 단축 등 노동정책을 둘러싼 논란이 신규 채용 발목을 잡는 불확실성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의 고용 정책이 노동 비용을 끌어올리는 원인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일자리가 충분히 늘지 못하고 있고 결국 청년층이 단순노무직으로 밀려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취업이 안 되면 생활비를 벌어야 하는데 일자리 여건이 좋지 않으면 건설현장 등으로 나갈 수 있다"며 "이런 상황이 통계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