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시설재난공제회, 재난취약시설 안전환경 개선 지원사업 전개
교육시설재난공제회가 학교 등의 재난취약시설 안전환경 개선 지원사업을 실시하며, 근본적인 재난 예방에 나서고 있다.

공제회는 풍•수해 등 각종 재난 발생으로 인한 사후 피해 복구 사업 못지않게 사전에 재난취약시설을 설비, 보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 올해로 5년째 ‘학교 등의 재난취약시설 안전환경 개선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4년도 6개 시•도 30개교 지원으로 시작된 안전환경 개선 지원사업은 꾸준히 이어져 올해는 17개 시•도 144개교를 지원하였다. 현재까지 지원을 받은 학교는 700개 학교에 이르며, 학교당 약 200만 원을 지급해 재난 예방 및 안전활동 사업에 있어 학교의 자율적인 재난 예방 활동이 가능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구체적인 지원 내용으로는 여름철 풍•수해 대비(우수홈통, 취약 담장 및 옹벽, 낙뢰피해 방지 설비 보수·보강 등), 겨울철 화재 예방(화재예방 교육/훈련, 기숙사/합숙소 내 화재 감지기/대피 유도 표지 설치 등), 시기별 재난취약시설 특별 안전점검 비용 등이며, 전년도에 비해 겨울철 화재 예방 및 특별점검 등의 지원 분야를 확대하여 추진했다.

이에 지원대상 학교들은 현재 재난에 대비하여 학교 재난취약시설물의 보수 및 보강을 시행 중이며, 교육시설재난공제회는 내년에도 학교 등에 재난예방 및 안전활동 사업비용 지원을 통해, 각 학교들이 재난에 대해 근본적인 예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시설재난공제회 측은 “각종 재해는 사후 복구뿐 아니라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전국 학교 등 교육시설을 중심으로 재난 예방 사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활동을 통해 전국 학교들이 우수관 설치, 석축 보수보강, 배수로 정비, 옥상 방수 시공, 경사면 정비, 피뢰침 설치, 위험 수목 제거 등 꼭 필요한 설비 보수 및 보강 사업을 실시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권유화 한경닷컴 기자 kyh111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