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간 비핵화 '디테일 협상' 고비마다 간극 좁히기 나설 듯
북미 공동성명 "판문점선언 재확인" 명시…文대통령 '운전자론' 탄력
'3대 원칙' 아래 남북관계 개선 속도…핫라인 통화·실무회담 주목
[북미정상회담] 긴 호흡 강조하는 文대통령 '포스트 6·12' 행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사적인 첫 정상회담이 12일 마무리됨에 따라, 북미 간 협상에서 '중재자' 역할을 해온 문재인 대통령의 이후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싱가포르 '완전한 한반도 비핵화' 약속과 대북 안전보장 약속이 담긴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이제껏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해 온 문 대통령으로서는 이날 북미정상회담 결과는 일단 '큰 산'을 넘어섰다는 점에서 반길만 한 성과라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이날 회담은 말 그대로 '첫 관문'인 만큼 세부 사항에 대한 협상은 이제부터라는 분석과 함께,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도 다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는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우선 이날 발표된 북미 정상의 공동성명에는 미국이 줄곧 강조했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 비핵화'(CVID)가 명시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그(비핵화) 프로세스를 매우 빠르게 시작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하면서 비핵화 조치가 조기에 가시화될 것임을 시사했으나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와 시한 등은 성명에 담기지 않았다.

일부에서는 양 정상이 원칙에 합의하긴 했지만, 실제 비핵화 조치에 돌입하면서는 '디테일'을 둘러싼 북미 간 신경전이 팽팽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예측도 하고 있다.

어렵게 북미 간 이견을 조율해 온 문 대통령으로서는 이번 성과를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목표로 연결하려면 앞으로도 북미 간 세부 논의가 고비에 부딪힐 때마다 다시 양측의 간극을 좁히는 역할에 나설 수 있다.

이를 위해 문 대통령은 남북 간, 한미 간 소통에 한층 힘을 쏟을 전망이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2일 트럼프 대통령과 40분간 전화 통화를 했으며,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도 14일 청와대를 예방해 6·12 북미정상회담의 결과를 설명할 예정이다.

이날 발표된 북미 정상의 공동성명에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해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는 대목이 담긴 것 역시 문 대통령의 이런 '운전자' 역할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북미 정상의 합의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판문점선언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이 명시되면서, 한국과 문 대통령 역시 비핵화 논의의 '당사자'라는 점이 거듭 확인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향후 남북미 정상회담 및 종전선언 시기와 방법에 대한 고민도 시작할 전망이다.

전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에서도 종전선언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정상회담] 긴 호흡 강조하는 文대통령 '포스트 6·12' 행보는
북미 간 비핵화 협상과는 별개로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문 대통령의 발걸음도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 모두발언에서 '긴 호흡으로 비핵화 과정을 성공으로 이끌 것', '우리가 주인공이라는 자세와 의지를 가질 것'과 함께 '남북대화를 성공적으로 병행할 것'을 이후 비핵화 노력과 관련한 '3대 원칙'으로 제시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와 적대관계 청산을 북미 간 대화에만 기댈 수 없다.

남북대화도 성공적으로 병행해 나가야 한다"며 "남북관계가 좋아지면 북미관계가 함께 좋아지고, 북미관계가 좋아지면 남북관계를 더욱 발전시키는 선순환 관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후 예정된 장성급 군사회담(14일)과 체육회담(18일), 적십자회담(22일) 등 분야별 실무회담의 성공적 개최에 만전을 기하는 물론,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설과 철도·도로·산림 협력 등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협력사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지난달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한 남북정상회담과 유사한 형태로 '수시 만남'의 기회를 마련하거나, 이미 설치된 남북 '핫라인(직통전화)'을 가동하는 등 정상 간 소통이 한층 활발해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북미정상회담] 긴 호흡 강조하는 文대통령 '포스트 6·12' 행보는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