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산업혁신 2020 플랫폼' 발족…신산업 선점전략 논의

기업들이 자율주행차와 재생에너지, 사물인터넷(IoT) 가전 등 신산업에 앞으로 5년간 최대 160조원을 투자하고 정부가 규제 개선 등을 통해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한다.

정부는 신산업 육성을 통해 2022년까지 일자리 약 20만개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민간기업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산업혁신 2020 플랫폼'을 발족하고 이 같은 신산업 발전전략을 논의했다.

플랫폼은 전기·자율주행차, 에너지, 반도체·디스플레이, IoT 가전, 바이오·헬스 등 5개 신산업에서 2020년까지 국민이 체감할 성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민간과 정부, 전문가 등이 머리를 맞대고 전략을 수립하는 민관 협의체다.

신산업 분야의 주요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대표,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컨설팅과 학계 전문가,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두산그룹 박지원 부회장, 삼성전자 윤부근 부회장, 이마트 이갑수 사장, 한화큐셀 김동관 전무, 현대차 권문식 부회장, GS파워 김응식 사장, LG전자 홍순국 사장, OCI 이우현 사장, SK디스커버리 최창원 부회장 등이 포함됐다.

참석자들은 2022년까지 계획을 담은 '신산업 프로젝트 투자·일자리 로드맵'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5개 분야 기업들로부터 앞으로 5년간 투자계획을 취합한 결과 최대 160조원의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5년간 일자리 약 20만개, 올해에만 약 2만7천개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별 투자액과 일자리 창출 효과는 전기·자율주행차 34조2천억원/1만8천200명, 에너지 44조8천억원/14만9천200명, 반도체·디스플레이 60조1천억원/8천500명, IoT 가전 10조9천억원/1만6천100명, 바이오·헬스 7조5천억원/5천200명이다.

전기·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민간의 혁신적 신제품 출시와 시장 창출을 지원하고 정부는 충전 인프라 확충과 실증 등에 주력하기로 했다.

에너지는 친환경 에너지 기술개발로 경쟁력을 키우고 전기를 절약하면 보상받는 '국민 수요자원(DR) 거래제도'와 양방향 충전(V2G) 상용화 등 스마트에너지 관련 서비스 시장을 창출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는 민간의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후발국과 초격차를 유지하기 위한 차세대 기술 선점, 장비·소재 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 등을 추진한다.

IoT 가전에서는 무선 시범단지 구축 등 하드웨어 측면과 에너지저장장치(ESS)·빅데이터 연계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측면의 기반을 모두 확보하기로 했다.

바이오·헬스에서는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의료 빅데이터를 보건복지부와 협업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건강관리, 신약 등 분야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투자계획 등이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규제 샌드박스' 도입 등 규제 개선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에 힘쓰기로 했다.

산업부 연구개발 예산에서 신산업 비중을 현재 30%에서 2022년 50%로 확대하고 관련 특허·표준 등의 제도도 개선하기로 했다.

백운규 장관은 "새 정부 출범 1년을 맞아 투자와 일자리 등 산업 혁신성장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도록 민관이 함께 기회 요인을 발굴하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 기업들은 에너지산업의 규제 개선, 미래형 자동차 부품개발을 위한 공급망 강화, 공공부문의 초소형 전기차 구매 확대 등을 건의하고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백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애로사항으로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면서 "그러나 이제는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에 맞는 선진국형 근로 형태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 장관은 "노동 생산성을 제고해야 하고 일자리도 좀 나눠야 한다"며 "기업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은 전체적으로 실태조사를 해서 하반기에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기업의 의견을 반영해 보완할 부분은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