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권센터 "박근혜 탄핵 촛불 때 군 무력진압 모의 정황" 폭로(종합)구홍모 지시 촛불 무력진압 파문, 국방부 “사실관계 조사…투명하게 밝힐 것"촛불 무력진압 중심에 선 구홍모, ‘실검 상위권’ 등극 눈길촛불 무력진압에 구홍모가 개입한 정황이 폭로돼 정치권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정국 당시 군 수뇌부가 시민들의 촛불집회를 ‘소요사태’로 규정, 소요사태 발생 시 무력으로 진압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군인권센터가 8일 주장했기 때문.촛불 무력진압은 이 때문에 주요 포털 핫이슈 키워드 및 실검 뉴스로 부상, 누리꾼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특히 촛불 무력진압 움직임이 어디까지 보고가 됐는지, 탄핵 정국에서 누구의 지시가 있었는지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비등하다.연합뉴스에 따르면 센터는 이날 오전 서울 마포구 이한열 기념관 3층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복수의 제보자에 따르면 2016년 12월 9일 국회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자 당시 수도방위사령관이 직접 사령부 회의를 주재하면서 `소요사태 발생 시 무력진압`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고 주장했다. 촛불 무력진압, 그러니까 대한민국 군인들이 대한민국 국민을 무력으로 진압하려 했다는 것.또 촛불 무력진압 증거와 관련 "합참에 회의록이 남아 있으며 내란예비죄로 수사하면 이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센터는 당시 군 관계자들이 대통령령인 `위수령`을 근거로 촛불 무력진압을 위한 병력을 동원하려 했으며 이 때문에 한민구 당시 국방부 장관이 위수령 폐지에 반대했다고도 주장했다.센터에 따르면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이철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이후인 2016년 12월과 이듬해 2월 2차례 국방부에 위수령 폐지 의견을 질의했고, 이에 합참이 위수령 폐지 의견을 국방부에 보고했으나 한 전 장관은 존치 의견으로 검토하라고 지시했다.센터는 "국방부가 청와대의 눈치를 보다가 탄핵이 인용된 직후인 지난해 3월 13일 이철희 의원실에 `위수령 존치 여부에 대해 심층 연구가 필요해 용역을 맡기겠다`는 회신을 보냈다"고 주장했다.다만 센터는 "이 같은 사실들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 제보자가 누구인지, 몇 명인지 등은 밝힐 수가 없다"고 했다. 회의 기록도 기밀에 해당해 센터가 가지고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이 같은 촛불 무력진압 사실이 알려지자 국방부는 기자들에게 보낸 `알림` 문자를 통해 "군인권센터의 주장과 관련하여 오늘부터 즉시 감사관실 등 가용인력을 투입하여 사실관계를 조사할 것"이라며 "그 결과가 나오는 대로 투명하게 밝히고 필요한 후속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제보자에 따르면 당시 수도방위사령관이었던 구홍모 현 육군참모차장이 직접 사령부 회의를 주재해 ‘소요사태 발생시 무력 진압’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구홍모’는 이 때문에 주요 포털 실검 상위권에 올랐으며 그가 누구인지에 대한 관심 역시 뜨겁다.한편 박근혜 정권에서 시행되려 했던 ‘위수령’은 대통령의 명령만으로 치안 유지에 육군 병력을 동원하는 조치로 1970년 박정희가 군부독재정권 유지를 위해 근거법도 없이 제정한 시행령이다.센터는 “한민구 전 국방부장관, 구홍모 육군참모차장을 위시해 위수령 존치를 통한 친위쿠데타에 관련된 군 지휘부, 법무계통과 박근혜 정부 청와대 관계자들을 내란 음모 혐의로 낱낱이 색출해 엄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구홍모와 한민구는 이에 대해 입장 표명을 자제하고 있어 사실상 대책 마련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구홍모 지시 촛불 무력진압 의혹 발표 이미지 = 연합뉴스기자 cbs@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