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틸, 휴스턴 현지공장 추진…해외이전 가속화 전망
이미 철강재 88%에 관세…"최악은 피했지만 큰 피해 불가피"


철강업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 따라 수입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대미 수출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이번 25% 추가 관세로 앞으로 최대 70% 관세를 물게 된 강관업체들은 이번 조치가 사실상 '수출 금지령'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모든 제품이 이미 높은 관세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25% 관세를 부과한다면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미국은 우리나라가 수출하는 철강재의 88%에 이미 반덤핑·상계 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25% 관세는 국내 철강업계가 이미 내는 관세에 추가로 부과된다.

예를 들어 포스코의 경우 이미 냉간압연강판 66.04%, 열연강판 62.57%의 관세를 내고 있어 25%를 더하면 관세가 각각 91.04%, 87.57%에 달한다.

현대제철도 냉간압연강판에 38.22%의 관세가 부과된 상태라 총 63.22%의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연례재심 예비판정에서 유정용 강관(OCTG)에 최대 46.37%(넥스틸)의 관세를 부과했는데 여기에 25%가 추가되면 약 70%의 관세를 내야 한다.

추가 관세로 인한 피해는 넥스틸, 휴스틸, 세아제강 등 중견 강관업체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다른 지역으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한 포스코, 현대제철 등 대기업과 달리 이들 강관업체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체 철강 수출에서 대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물량 기준 11.2%(금액 기준 12.1%)다.

그러나 휴스틸은 전체 매출의 약 40%가 대미 수출에서 발생하며 넥스틸은 수출의 90%가 미국으로 가는 물량이다.

세아제강은 작년 전체 수출 약 70만t에서 대미 수출이 약 50만t이다.

이는 원유와 셰일가스 채취에 사용하는 유정용 강관(OCTG)이나 송유관 등의 수요가 대부분 미국에 있기 때문이다.

강관업계 관계자는 "미국에 수출하지 말라고 관세를 매기는데 대응전략이 있을 수 있겠느냐"며 "중장기적으로 이런 환경이 계속되면 미국 현지에서 생산할 수밖에 없겠지만, 단기적으로는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일부 강관업체들은 이미 미국 현지 생산을 선택했다.

유정용 강관이 주력 제품인 넥스틸은 이미 미국 휴스턴에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당초 태국에도 공장을 지을 계획이었지만, 태국도 관세 대상에 포함될 경우 태국에서 운영하려고 했던 생산설비를 미국으로 옮길 방침이다.

세아제강은 2016년 미국 현지 생산법인을 인수해 작년 연간 15만t 생산능력으로 인력과 설비를 보강했다.

철강업계에서는 그나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만 53%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거론하지 않은 것에 대해 "최악은 피했다"라는 평가가 나왔다.

정부와 철강업계는 우리나라 등 일부 국가만 겨냥한 선별 관세를 가장 치명적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다만 미국 정부가 관세에 대한 세부 이행 계획을 아직 공개하지 않은 만큼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미국 업체들이 관세를 시장 점유율 대신 영업이익을 확대할 기회로 활용해 가격을 올릴 경우 관세 인상분을 상쇄할 정도의 가격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강관류의 경우 미국 업체의 생산능력만으로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17년 대미 철강 수출은 354만2천527t(32억5천964만 달러)으로 최고점인 2014년 571만571t(52억167만 달러)보다 약 38% 감소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