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찰청은 2013∼2017년 5년간 무단횡단 사망사고를 분석한 결과 이들 구간의 무단횡단 사망자가 각각 5명으로 가장 많았다고 22일 밝혔다.
이 기간 서울 시내 교통사고 사망자 1천823명 가운데 보행자는 1천41명으로 절반을 웃도는 57.1%였다.
이 가운데 무단횡단 사망자는 618명으로 전체 보행 사망자의 59.4%다.
자치단체별로 보행자 사망사고가 잦은 곳은 영등포구(49명)였으며 마포구(36명), 동대문구(35명), 구로구(32명), 송파구(31명)가 뒤를 이었다.
가장 적은 곳은 노원구·성동구(각 15명)였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이 301명으로 절반에 가까운 48.7%였고 51∼60세(113명·18.3%)와 41∼50세(59명·9.5%), 61∼64세(7.3%) 순이었다.
계절별로는 11∼1월 등 주로 겨울철에 집중됐고, 하루 중에서는 오전 5∼7시 새벽 시간이 가장 많았다.
도로 크기별 비율을 보면 편도 기준 3차로(32.8%)·4차로(25.6%)·2차로(20.9%)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5차로(10%)·6차로(6%)·1차로(4.7%)는 적어 중간 크기의 도로에서 사망사고가 잦았다.
경찰은 이번 통계를 토대로 사고 발생 장소 500곳을 선정하고 이를 발생시간·월별·유형별 특징을 고려해 3개 등급으로 나눠 특별관리할 계획이다.
사망사고가 3건 이상인 17곳은 '가' 등급을, 사망사고가 2건인 79곳과 1건인 404곳은 각각 '나'와 '다' 등급을 부여한다.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곳은 서울시와 교통안전공단·삼성교통연구소 등 관련 기관과 협업해 합동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특히 경찰은 '가'와 '나' 등급을 받은 96곳 중 간이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곳이 47곳에 불과해 절반에도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서대문구 독립문역 사거리∼서대문역 사거리 구간은 최근 5년간 무단횡단 사망사고가 3건 발생했지만, 2016년 8월 간이 중앙분리대를 설치한 이후로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강서구 염창역∼양화교 교차로 역시 5년간 2건의 무단횡단 사망사고가 있었지만 2015년 11월 간이 중앙분리대 설치 이후로는 같은 사고가 없었다.
반면 송파구 석촌역은 5년간 사망사고가 4건 발생해 시설 개선이 시급한 곳으로 꼽혔다.
경찰 관계자는 "노인 보행자는 길을 건널 때 반드시 횡단보도를 이용하고 신호를 꼭 준수해야 하며 운전자들은 새벽 시간 편도 3차로 이상 주택가 주변을 운전할 때는 제한속도를 지키고 보행자에 유의해 안전운전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