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의 휴대용 ATM P페이(피페이), 소상공인들의 고민타파 가능
2017년 동안 금융권도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의 거대한 물결을 피해갈 수 없었다. 금융과 IT 기술 융합을 뜻하는 '핀테크(FinTech)'는 모바일 플랫폼 중심의 비대면(非對面) 채널의 폭증을 이끌어내며 필수불가결한 변화의 흐름으로 인식되고 있다. 앞으로 결제와 카드가 필요 없게 될 것이라는 말도 들리고 있는 반면 여전히 대면(對面)채널을 통한 오프라인 결제시장은 유효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주)스마트비(대표 백용호)는 대면 채널에서 핀테크 기술을 접목시켜 결제 가능한 플랫폼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P페이(피페이)다. 오프라인에서 인증절차 없이 카드 비밀번호 4자리 입력만으로 바로 현금이체와 잔액조회, 거래내역까지 확인 가능한 피페이는 현금이체 방식으로 결제 즉시 사업자의 통장에 입금되기 때문에 현금유동성과 카드수수료로 고민하는 소상공인들의 고민해결에 도움된다.

월 매출 2500만원인 서울 홍대의 한 미용실 사장 B씨는 총 매출의 95%에 달하는 카드결제로 인해 카드수수료 비용에 대한 고민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최근 피페이를 사용한 B씨는 “피페이 덕분에 카드수수료의 상당 부분이 절감됐을 뿐만 아니라 결제 즉시 통장에 입금되므로 현금유동성도 많이 해소됐다”고 전했다.

비사업자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국내 비사업자의 경우, 카드결제기 사용이 어려우며, 사용한다 하더라도 비사업자용 신용카드결제기는 가맹점 수수료가 3.96%~5.6%에 달한다. 그러나 피페이는 가맹점 수수료 없이 단말기만 구입하면 비사업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액 매출의 플리마켓 사업자나 푸드트럭, 가내사업자들에게 유용하다는 평이다.

특히 방문판매 사업자는 현장 고객들이 현금을 보유하지 않고 있으면 판매에 어려움이 있는데, 피페이만 있다면 고객의 체크카드로 현금이체 방식의 즉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화장품 방문판매 사업자 K씨는 “피페이 사용 후 이전보다 현장결제가 한결 수월해져 매출이 증가했다”고 기뻐했다.

사업자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위한 혜택도 주어진다. 피페이는 현금이체 방식으로 결제되기에 현금영수증 발급을 통해 소비자들의 소득공제 혜택까지 제공이 가능하다.

비대면 채널과 온라인 결제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요즘. 소상공인은 여전히 대면 채널에서의 오프라인 결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소상공인들을 중심으로 피페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편, 피페이는 오프라인 간편결제시장 선점을 위해 공격적이고 전방위적인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총판/대리점 모집 중에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스마트비 P페이(피페이) 공식 홈페이지 또는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