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하원에서 세제개편안이 통과된 가운데 약세를 나타냈다.

19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7.45포인트(0.15%) 하락한 24,754.7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69포인트(0.32%) 내린 2,681.4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0.91포인트(0.44%) 낮은 6,963.85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혼조세로 출발한 지수는 장중 하락세로 돌아섰다.

세제안이 하원에서 통과되고 상원 표결을 앞둔 상황에서 일부 이익 실현 매물이 나왔다.

애플 등 일부 기술주가 내림세를 보인 것도 지수 하락에 일조했다.

이날 하원은 227대 203으로 세제안을 가결했다.

민주당 의원은 모두 반대했다.

상하원에서 세제안이 모두 통과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조만간 서명할 수 있게 된다.

세제개편안은 법인세율 인하에 따른 기업의 이익 증가 기대를 키워, 올해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전일도 3대 주요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일제히 경신했으며 나스닥 지수는 장중 7,0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올해 들어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5%와 20%가량 올랐고 나스닥 지수는 약 30%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지표들은 경기를 낙관하게 했다.

미국의 주택착공실적이 전달 급증에도 줄지 않고 남부와 서부 지역 덕분에 증가세를 이어갔다.

미 상무부는 11월 주택착공실적이 전월 대비 3.3% 급증한 129만7천 채(계절조정
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1년여래 최대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는 3.1% 감소한 125만 채였다.

11월 주택착공 허가 건수는 1.4% 감소한 129만8천 채를 보였다.

WSJ의 월가 애널리스트들 집계 결과는 2.3% 감소한 127만 채였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올해 3분기(2017년 7~9월) 경상수지 적자도 본원 소득과 서비스 부문 흑자 증가로 시장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미 상무부는 3분기 경상수지 적자가 1천5억7천만 달러로 전 분기보다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는 1천160억 달러다.

이날 노무라 인스티넷은 애플의 주가 가치가 높은 상황이라며 투자의견을 하향조정했다.

인스티넷은 애플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하고 목표가도 185달러에서 175달러로 낮췄다.

이에 따라 애플의 주가도 1% 하락했다.

인스티넷은 그동안 애플의 주가를 끌어올렸던 아이폰 주기가 거의 막바지에 도달했다고 진단했다.

애플은 가장 주목받는 종목 중 하나이며 보통 부정적인 의견은 드물다.

현재 애플을 담당하는 증권사는 38곳이며 31곳은 '매수'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인스티넷을 포함한 나머지는 '중립' 의견이며 '매도' 의견은 없다.

애플의 주가는 올해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한 대형주 중 하나다.

애플의 주가는 올해 52% 급등세를 보였다.

기술주 또한 올해 40% 상승했으며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이날 애플에 대한 투자의견 하향을 이익 실현 기회로 봤다고 진단했다.

제너럴모터스(GM)의 주가는 증권사 투자의견 상향에 0.8% 상승했다.

RBC 캐피털 마켓은 GM이 지난 3분기 실적 이후 부진을 견뎌낼 것으로 본다며 회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높였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이 2% 가까이 하락하며 가장 크게 내렸다.

유틸리티도 1.8% 하락했고, 기술과 통신, 소재, 금융, 헬스케어 등도 하락세를 보였다.

에너지와 필수 소비 등은 상승했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증시가 최근 사상 최고치 경신 흐름을 이어왔기 때문에 잠시 쉬어가는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며 주가가 소폭 조정을 보여도 전반적인 증시 투자 심리가 크게 훼손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진단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내년 3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59.2%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4.51% 오른 9.96을 기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