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새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 사업의 시범 사업지 68곳이 최종 선정됐습니다.지역별 특색을 잘 살린 도시재생 계획을 내놓은 지자체들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서태왕 기자입니다.<기자>‘1897 개항 문화거리 조성사업’.목포시가 내놓은 도시재생 계획입니다.1897년 개항 이후 보존돼 있는 근대 역사문화 자산과 항구 기능을 연계해 도시를 활성화 시키겠다는 게 기본구상입니다.정부는 목포시를 포함해 전국 낙후지역 500여 곳 중 68곳을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했습니다.이번에 선정된 지역들은 역사자원과 문화자산 활용이 가능하고, 지역관광 활성화와 연계할 수 있는 곳들이 대부분입니다.최근 지진으로 피해가 발생한 포항시 흥해읍은 특별재생지역으로 지정됐습니다.정부는 포항시와 협의해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내년 4월까지 도시재생특별법을 개정해 법적 근거를 마련할 방침입니다.도시재생 뉴딜 사업은 새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매년 10조 원(재정 2조 원, 주택도시기금 5조 원, 공기업 사업비 3조 원 등)씩 5년간 총 50조 원이 투입되는 국책사업입니다.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따져 볼 것도 많습니다.전문가들은 각 지역들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합니다.<인터뷰>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런 것들은 관이 주도할 때는 돈 투자할 때는 되는데 돈이 끊기면 그 순간 멈춰버리는 부분이 있어서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주민 주도로 가야한다.”정부 지원이 끊기더라도 관련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한국경제TV 서태왕입니다.한국경제TV 핫뉴스ㆍ허경영, 롤스로이스 타고 ‘하늘궁’ 생활…호화판 뒤 진실은?ㆍ송혜교, 독보적인 은광여고 `3대 얼짱` 시절 미모ㆍ`무한도전` 김태호 PD, 부장 승진했다ㆍ‘강식당’ 오므라이스, 대체 얼마나 맛있으면?ㆍ몰카로 2년 간 `친구 부부 화장실 훔쳐본` 30대ⓒ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