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인사이트, 전기차리더스포럼서 발표

소비자들은 전기차 구매 시 주행가능거리를 가장 많이 고려하고, 이미 구매한 뒤에는 주행 4번 중 1번꼴로 배터리 충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조사·평가 전문업체인 컨슈머인사이트의 윤태선 전무는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17 전기차리더스포럼'에서 이런 내용의 친환경차에 대한 소비자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자동차 보유자 및 2년 내 차량 구입 의향자 약 10만명을 대상으로 매년 자동차 기획조사를 벌이고 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전기차를 구매하려는 이유로 정숙성과 경제성(유지비·세금혜택)을 꼽았다.

세부적으로 하이브리드차(HEV)는 기술력 신뢰도,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는 활용성, 순수전기차(EV)는 환경규제 강화 때문에 각각 구매를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실제 구매할 때는 HEV와 PHEV의 경우 연비를, EV는 주행가능거리를 가장 많이 따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충전 인프라 이용 용이성과 차량 가격도 공통적인 주요 고려사항으로 꼽혔다.

전기차 구매자는 자택 충전과 외부 충전의 비율이 5:5로 동일했다.

배터리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는 10회 주행 시 평균 2.8회였다.

소비자들이 1회 충전으로 기대하는 항속거리는 평균 372㎞, 급속충전 시 적당하다고 느끼는 소요 시간은 30분 내외로 조사됐다.

윤태선 전무는 "전기차 구매자는 외부에서 충전 빈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경험 횟수가 많았다"며 "정부의 지속적인 충전 인프라 개선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윤 전무는 이어 "소비자 기대 항속거리를 충족하는 모델은 현재 볼트(Bolt)밖에 없다"면서 "제조사 관점에서는 짧은 충전 시간과 긴 항속거리를 확보하는 게 중요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포스코ICT 이규제 부장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 및 과제에 관한 주제 발표에서 "같은 곳의 충전기 보급을 놓고 정부 부처가 경쟁하거나 중복 투자가 이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부장은 "종합 컨트롤센터를 세워 정부와 지자체, 민간이 설치한 충전 인프라망을 통합한 뒤 시장 논리에 맞는 다양한 사업모델이 출현하도록 민간 시장을 육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회 신성장산업포럼이 주최하고 한국전기자동차협회가 주관한 이날 포럼에는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대구시 등 지자체, 현대자동차 등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주제 발표와 토론을 했다.
"전기차 충전 스트레스 크다… 주행 4번 중 1번꼴 경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