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주요 카드사들의 암담한 `3분기 성적표`가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가맹점 수수료 인하 영향이 곧장 실적에 나타났기 때문인데요.전문가들은 내년 가맹점 수수료 인하 조치가 추가적으로 시행되면 실적 악화가 더욱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박해린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지난 8월 시행된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여파로 주요 카드사들의 3분기 실적에 때 이른 한파가 몰아치고 있습니다.국민·신한·우리·하나,삼성카드 등 현재까지 3분기 실적을 발표한 5개 카드사의 당기 순이익은 총 3633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약 1천억원 가량 줄었습니다.우리카드는 수수료 수익에 해당하는 비이자 이익이 200억원 감소하며 한 분기만에 순이익이 40% 넘게 하락했고, 신한카드도 지난 2분기와 비교해 순이익이 35%가량 감소했습니다.업계에선 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에 따른 실적 악화가 4분기 이후 본격화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올 3분기까지는 각종 일회성 요인을 바탕으로 실적 방어 여력이 있었지만, 4분기부턴 실적 하락을 상쇄할 카드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입니다.<인터뷰>카드업계 관계자"가맹점 수수료가 지속적으로 인하되고 수수료율 우대 가맹점 수도 확대되는 관계로 카드사들의 경영 환경은 올해에 이어 내년, 내후년에는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전문가들은 카드사들이 수익 보전 최후의 수단으로 ‘희망퇴직’ 등 대규모 인력 감축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실제로 지난해 1월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를 전후로 모든 카드사가 희망퇴직을 실시해 7개 카드사가 6개월간 860명의 인원을 감축한 바 있습니다.수수료 인하와 더불어, 가계부채 대책의 일환인 카드론 사업 규제도 중소형 카드사들의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인터뷰>김상봉/한성대 경제학과 교수“처음 가맹점 수수료율 내릴 때 천명 넘게 나갔어요. 올해 또 줄여 나갈 겁니다. 수수료를 계속 내리게 되면 큰 회사들만 살아남아요. 작은 회사들은 접을 거고요. 가맹점이나 소비자 입장에선 (선택의 폭이)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카드사들의 경영 악화가 현실화 조짐을 보이면서, 고용 축소 등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에 따른 부작용이 본격화될 것이란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한국경제TV 박해린입니다.박해린기자 hlpark@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1박2일’ 정준영 영상편지, 못다한 작별인사 ‘눈물 펑펑’ㆍ오미연, ‘기적적인 태동’에 중절수술 포기한 사연ㆍ문희옥 피소, 성추행 당한 소속사 후배에 “발설 마라” 협박?ㆍ‘만수르‘와 또다른 ‘만수르‘ 혼란 가중된 이유ㆍ송은이 ‘비디오스타’서 눈물 펑펑…무슨 말을 들었기에?ⓒ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