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한 것은 통역이 없다는 점이다. 헤드폰 형태의 통역기도 없다. 모든 세미나는 영어로 진행되고 질의응답도 영어로 이뤄졌다. 청중들은 영어에 막힘이 없었다. 바레인 국민들은 영어를 모국어인 아랍어만큼 능통하게 구사한다. 공용어이기 때문이다.
바레인경제개발청의 라티파 알 칼리파 홍보담당은 “바레인은 초등학교때부터 이중언어 교육을 실시하기 때문에 영어에 능통하다”고 말했다. 정부 관료들중에는 미국 하버드대학이나 영국 글래스고대학 등 서구의 유서깊은 대학 출신들이 곳곳에 포진해있다. 약 130만명에 이르는 전체 인구중 절반 가량이 외국인인데 외국인들도 정부 기관에서 맹활약한다. 바레인의 면적은 760㎢로 서울보다 조금 크다. 하지만 ‘걸프협력회의(GCC)’ 국가중 ‘포스트오일 시대’ 준비에 가장 활발하다. 그중엔 금융 ICT 관광산업 등이 들어있다. 바레인은 △중동과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지리적 요충이라는 잇점 △걸프지역 최초로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할 정도로 개방적인 정책 △높은 모바일 및 인터넷 보급률 △법인세와 소득세가 없다는 점 등 덕분에 글로벌 ICT 업체들이 진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사우디아리비아 인도 등지에서도 창업자들이 속속 몰려들고 있다.
바레인이 지난 9월초 해외거주자 네트워크 ‘인터네이션(InterNations)’ 설문조사에서 전 세계 65개 주요국 가운데 외국인이 거주하고 근무하기 가장 좋은 국가로 꼽힌 것도 외국인에 호의적인 사회분위기와 원활한 영어소통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영국에 본사를 둔 커뮤니케이션업체 콘솔룸의 잭 매기 팀장은 “바레인 국민들의 영어 수준은 매우 높다”며 “이런 영어 구사능력은 외국기업 유치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나마(바레인)=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