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내외금리차 확대 통화정책 고려요인"
"경기·물가 경로 중요하고 北리스크도 있어"
북한 리스크에 美긴축까지…복잡해진 한은 금리 셈법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긴축을 향해 한걸음 내딛음에 따라 북핵 리스크와 경기, 물가에 더해 한국은행 통화정책 변수가 더욱 복잡해졌다.

미 연준은 2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뒤 4조5천억 달러(약 5천78조원)에 달하는 보유자산을 다음 달부터 축소하겠다고 발표했다.

기준금리는 현재 1.00∼1.25%에서 동결했지만 연내 추가 금리를 올린다는 기존 입장은 유지됐다.

미 연준은 금융위기에 대응하느라 2009년 3월부터 보유자산을 대폭 늘리며 양적완화를 했는데 약 9년 만에 이를 축소하는 것이다.

미 연준 긴축 행보는 한은 금통위 금리 결정에 주요 고려 요인이다.

보유자산 축소는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긴축 효과가 있어서 사실상 장기금리 상승을 의미한다.

또, 12월에 금리를 올리면 현재 같은 수준인 양국 기준금리가 역전될 수 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돈줄죄기로 방향을 잡는 등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이 긴축을 향해 움직이고 있다.

금리역전이 곧바로 자본 유출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혹여라도 현실화되면 파장이 엄청난 리스크다.

2013년 자산매입 규모를 서서히 줄이는 테이퍼링을 했을 때 세계 금융시장은 발작적 반응을 보였고 신흥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금이 급격히 유출됐다.

지난달 말 금통위에서 한 금통위원은 "선진국 통화정책 정상화와 더불어 우리도 통화정책 기조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21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내외금리차가 확대되면 문제가 있으니까 그것이 통화정책 고려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이 6월 금리인상 깜빡이를 켠 것도 직후에 미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기 앞서대응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말고도 한국 경제에 중차대한 변수가 많다는 점이다.

북핵 리스크는 먹구름처럼 머리 위를 맴돌고 있고 수출 등 경기와 물가 등도 방향성이 확실하지 않다.

북핵 리스크로 인한 불확실성은 너무 커서 한은은 다음달 금통위 때 수정경제전망을 내놓을 때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 총재는 "국내경기와 물가 경로가 중요하고 북한 리스크가 있으므로 셈법이 복잡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미 보유자산 축소 결정으로 한은 금리인상 시기가 크게 앞당겨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경기와 북핵 리스크가 관건이라는 것이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근원물가가 오르지 않아서 한은이 신중한 점이 있다.

연준 자산축소는 예견된 것이므로 한은도 완만한 속도 금리조정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투자와 소비가 위축되며 성장률도 둔화될 수 있어서 한은이 금리를 빨리 높일 가능성도 별로 없다"고 "미국 금리 인상보다도 북핵 문제 때문에 우리나라 신용등급이 내려가면서 자본유출되는 상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노재현 기자 merciel@yna.co.kr, noj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