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두 자리 중 여성 1명 임명되면 달성 가능

여야가 정부조직법 개편에 합의함에 따라 장관과 장관급 자리가 하나씩 늘어나면서 정부의 '장관직 여성 비율 30%' 목표가 달성될지에 재차 관심이 쏠린다.

기존 정부조직에 따르면 17개 부처 중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은경 환경부 장관,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임명돼 여성 비율은 24%에 그쳤다.

여야가 20일 중소기업청을 승격시켜 중소창업기업부를 신설하고 국가보훈처장의 지위를 장관급으로 격상시키기로 함에 따라 중앙직제상 장관직 자리는 총 19자리가 됐다.

이 중 비어있는 자리는 고용노동부 장관과 중소창업기업부 장관이다.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을 포함하면 현재 19자리 중 5명이 여성으로 채웠으니 26%를 달성한 셈이다.

숫자만 따지고 보면 남은 두 개 부처 중 한 곳만 여성 장관이 임명돼도 장관직 중 여성 비율은 32%가 된다.

두 곳 모두 여성 장관이 임명되면 그 비율은 37%까지 늘어난다.

이 때문에 남은 두 자리의 하마평에 오르는 여성 정치인과 각 분야의 전문가 이름에 최근 들어 이목이 쏠리는 상황이다.

특히 고용노동부 장관의 경우 일각에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한정애 의원이나 정의당 심상정 전 대표의 이름이 나오고 있어 그렇다.

다만 청문회를 치르고도 낙마한 조대엽 전 후보자의 결정적인 하자로 지목된 요인 중 하나가 노동 현안과 관련한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점이었던 만큼 이들보다 노동 현안에 더 밝은 전문가 그룹에서 후보자를 찾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전문가 그룹 중에는 여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소창업기업부 장관은 신설 부처여서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는 정치인 출신이 기용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 자리에는 대선 당시 '브레인 역할'을 한 윤호중 의원과 홍종학 전 의원을 비롯해 김병관 의원, 이상직 전 의원 등의 이름이 거론되는 가운데 여성 후보로 경제 현안 전반에 밝은 박영선 의원이 주목받는 분위기다.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kj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