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사퇴 요구는 정치공세"…文대통령, 3인 임명 가능성
野3당 속내는 제각각…단일대오 구축할 수 있을지 미지수
야당 "부적격 3인 임명 강행시 각오해야" 정국경색 '경고'
'인사청문 슈퍼위크'를 끝낸 여야가 또다시 날카로운 대치 전선을 구축하고 있다.

야권은 2일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부적격' 입장을 확고히 하며 자진사퇴와 지명철회를 요구한 반면 여당은 야당의 발목잡기라고 맞섰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추가경정 예산안이나 정부조직법 등 주요 현안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어 이들 후보자에 대한 임명 문제는 향후 정국의 향배를 결정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야권은 이들 후보자에 대한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한국당 김성원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들 후보자는 청문회에 나올 자격조차 없는 사람들"이라며 "정부·여당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행태를 즉각 중단하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능력 있는 인사들을 새롭게 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세 후보자가 그동안 제기된 도덕성이나 자질문제에 대한 우려를 청문회에서 충분히 소명하지 못했다"면서 "새 정부의 개혁과제를 잘 감당할 수 있는 후보인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바른정당 오신환 대변인은 "청문회 이변은 없었다.

해명은 또 다른 의혹을 낳았고 검증할수록 무자격 후보라는 점이 명확해졌다"며 "청와대는 인사지명을 철회하고 사과하는 것이야말로 국민에 대한 도리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야당의 사퇴 요구가 막무가내식 정치공세라는 입장이다.

세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결정적인 하자가 드러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강훈식 원내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민의 눈높이에 어긋나는 후보는 없었다고 본다"면서 "청문회에서도 결정적 한방 없이 국면이 이어온 것이 아닌가.

야당의 사퇴 공세는 국민의 동의를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이후 이들 3명의 후보자에 대한 임명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문 대통령이 지금까지 야권이 반대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모두 임명한 만큼 이번에도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방미 성과를 갖고 귀국을 하면 국정 지지율도 높아지고 새 정부에 대한 신뢰가 더 견고해질 것"이라면서 "그런 지지를 발판삼아 임명을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문 대통령이 이들 후보자를 임명할 경우 정국 경색은 불가피하다.

다만 문 대통령이 3명의 후보를 임명하더라도 3당이 단일대오를 형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주요 현안을 바라보는 3당의 시각이 제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먼저 한국당은 임명 강행을 성토하며 추경이나 정부조직법 개정안 등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를 전면 보이콧할 가능성이 있다.

정용기 원내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이 오만하게 독주를 하고 있는데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갈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면서 "국회 일정이 순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오는 3일 새 지도부가 선출되는 만큼 어떤 지도부가 들어서느냐에 구체적인 전략의 방향이 상당 부분 좌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입장은 미묘하게 차이가 있다.

국민의당의 경우 '문준용 씨 의혹제보 조작' 파문으로 코너에 몰린 상황에서 여당과 전면적으로 각을 세우기에는 적지 않은 부담이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국민의당이 결국에는 이들 3명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에 동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국민의당은 현재까지는 당론을 정하지 못한 상태며, 오는 3일 의원총회에서 입장을 정할 방침이다.

바른정당은 일단 3일부터 추경안 심사에는 들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추경 심사에 응할 수 없다는 한국당의 입장과는 다른 것이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세 후보자를 임명하는 경우 국회 일정을 보이콧하며 강공 모드로 돌아설 수 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지난 30일 원내대표 회동 이후 기자들을 만나 "청와대가 임명을 강행하려고 한다면 다시 (추경 심사에 대한) 의원들 뜻을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