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완화 기조를 유지해왔던 통화정책의 조정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다만 과거 사례에 비춰봤을 때 당장 기준금리를 올리기에는 시기상조라는 분석이 우세합니다.정원우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 취임 이후 줄곧 통화완화 기조를 유지해왔던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 조정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했습니다.<인터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앞으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 통화정책 완화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면밀히 해나가야 할 것입니다."한국은행 측은 확대해석을 경계했지만 이번 이 총재의 발언을 두고 통화긴축 즉 금리 인상의 신호탄이라는 해석이 나왔습니다.실제 1분기 경제성장률이 6분기 만에 1%대로 올라서는 등 경기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고 최근 소비자물가도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인 2% 수준까지 올라왔습니다.그럼에도 과거 사례를 볼 때 실제 금리 인상까지는 확인해야할 부분이 많습니다.가장 최근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 기조로 돌아섰던 것은 지난 2010년 7월 김중수 총재 취임 직후입니다.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6개월동안 2%에 묶여있던 기준금리를 2.25%로 인상했는데 물가급등에 대비한 선제 조치 성격이 강했습니다.당시 상반기 물가상승률이 2.7%로 한국은행의 연간 전망치를 이미 웃돌았습니다. 한국은행 설립 목적인 ‘물가안정’이라는 금리 인상 근거가 명확했던 셈입니다.반면 지금의 한국경제는 고작 한분기 성장 회복세만 확인했을 뿐입니다.또 한국은행 역시 여전히 수요 측면의 물가상승 압력이 크지 않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습니다.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 가계부채 수준를 고려하면 섣부른 금리 인상은 금융안정을 크게 해칠 위험도 있습니다.한국은행은 11개월째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더 이상의 추가 완화는 없다는 메시지를 굳히고 있습니다.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빠르면 내년 초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한국경제TV 정원우입니다.정원우기자 bkjung@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남편 재산이 어마어마’ 이혜영, 입이 떡 벌어지는 초호화 집 공개ㆍ이태임 수영복 자태 변천사…이 몸매가 굴욕?ㆍ온라인 뜨겁게 달군 `갓데리` 홍진영… 이 몸매, 현실?ㆍ성현아, 이혼소송 남편 자살 추정…시신 부패 진행 중 발견ㆍ"세월도 역행" 김성령, 20대 vs 50대 `진화하는 미모` 입이 쩍ⓒ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