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설계] "신용카드 빚 줄이고 싶다면, 5단계 행동 변화 6개월만 지켜라"
“형, 저 담배 다시 피우게 됐어요.”

15년 가까운 직장생활 동안 담배를 피우다 2개월 정도 금연한 후배가 독한 결심이 무너졌다고 털어놨다. 회사 일로 받는 스트레스가 금연의 최대 적일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작 다시 담배에 손을 댄 곳은 겨울 휴가지였다고 했다. 스트레스 없이 가족과 함께 좋은 시간을 보내다가 담배의 유혹을 이겨내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담배 끊기나 건강에 해로운 음식 먹지 않기 같은 부정적 행동 멈추기는 매우 힘든 일이다. 운동하기처럼 긍정적 행동을 시작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어렵다. 행동을 바꾸기가 어렵다고 해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행동 바꾸기가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좀 더 잘 이해한다면 훨씬 수월해진다.

범이론적 모델(TTM: Transtheoretical Model)이 이런 이해에 도움을 주는 대표적인 이론이다. 초기에 이 이론은 전문가 도움 없이도 스스로 금연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성공하는지에 관심을 갖고 분석했다. 그 결과 금연에 성공하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치는 것을 확인하고 금연을 하나의 과정으로 설명했다.

TTM에 따르면 행동 변화의 과정은 계획 전 단계, 계획 단계, 준비 단계, 행동 단계, 유지 단계 등 총 5단계다. 사람들은 계획 전 단계에선 행동을 바꿔야겠다는 니즈가 없다. 그러나 계획 단계가 되면 자신의 행동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해결 방법을 생각하기 시작한다. 또 향후 6개월 내 행동에 나설 생각을 한다. 세 번째는 준비 단계로 행동을 시작하기 전 최종 준비를 하고 1개월 안에 행동할 작정을 한다.

다음은 행동 단계다. 나쁜 행동을 중단하고 좋은 행동을 시작한다. 다만 행동을 바꾼 지 6개월이 지나지 않은 단계다. 행동을 바꾼 지 6개월이 지나면 마지막 유지 단계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선 행동 변화를 지속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사람은 언제든지 나쁜 행동을 다시 시작할 수 있고 좋은 행동을 중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무설계] "신용카드 빚 줄이고 싶다면, 5단계 행동 변화 6개월만 지켜라"
TTM은 재무 행동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 적용돼 왔다. TTM을 적용한 재무 행동은 부채를 줄이기 위한 행동, 지출계획을 수립해 지출 상황을 관리하는 행동, 주택 구매 같은 재무목표 달성을 위한 저축 행동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서는 신용카드 빚 문제에 대한 행동의 변화 과정을 TTM으로 살펴보자. 어떤 사람이 월 소득의 20% 이상을 신용카드 빚을 갚는 데 쓰고 있어 행동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자. 이 사람에게 “당신은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신용카드로 불필요한 구매를 하지 않고, 신용카드 빚을 가능한 한 빨리 갚기 위한 행동을 하겠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져 어떻게 응답하느냐에 따라 이 사람이 어느 단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신용카드 빚을 문제로 여기지 않는다면 ‘계획 전 단계’, 문제를 인식하고 6개월 내에 행동할 생각이라면 ‘계획 단계’, 1개월 내 행동에 나설 작정이라면 ‘준비 단계’, 아직 6개월은 안 됐지만 이미 그런 행동을 시작했다면 ‘행동 단계’, 6개월 이상 그런 행동을 하고 있다면 ‘유지 단계’에 해당한다.

TTM은 재무 행동의 변화 단계를 파악한 뒤 그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제시한다. 계획 전 단계의 경우 문제 행동과 관련한 강한 정서적 경험(극적 해소·dramatic relief)이 그런 요인이다. 신용카드 빚을 문제로 여기지 않아 계획 전 단계에 머물고 있는 사람이 신용카드 빚 때문에 극심한 고통을 받은 다른 사람의 얘기를 듣는다면 이 사람은 계획 단계로 넘어가기가 수월해진다.

어떤 사람이 행동 단계에서 유지 단계로 나아가려고 한다면, 자극통제(stimulus control)와 역조건 형성(counter-conditioning)이 중요하다. 자극통제는 예를 들어 쇼핑 중독 탓에 신용카드 빚 문제가 생긴 사람이 충동구매의 자극을 통제하기 위해 TV 홈쇼핑을 시청하지 않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역조건 형성은 쇼핑 욕구가 생길 때마다 무조건 가벼운 운동을 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자신이 관심 있는 재무 행동을 떠올려보고, 그 행동과 관련해 자신이 TTM 행동 변화의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생각해보자. 그리고 자신이 해당하는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만약 유지 단계라면 계속해서 유지 단계에 머물기 위해) 필요한 요인을 따져보자.

장경영 한경 생애설계센터장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