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3월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가운데 소폭 올랐다.

3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4포인트(0.01%) 상승한 21,005.7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20포인트(0.05%) 높은 2,383.1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9.53포인트(0.16%) 오른 5,870.75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 하락세를 보이던 지수는 장 막판 강세로 돌아섰다.

연준의 경제에 대한 자신감이 강화됐다는 분석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업종별로는 금융과 헬스케어, 산업, 기술 등이 올랐고 소비와 에너지, 소재, 부동산, 유틸리티는 내렸다.

시장은 옐런 의장을 비롯한 연준 위원들 연설과 경제지표 등을 주목했다.

옐런 의장은 시카고 경영자클럽 연설에서 "이달 회의에서 고용과 물가가 기대대로 개선됐는지 확인할 것이다"며 "(예상에 부합할 경우) 연방기금(FF) 금리의 추가 조정이 적절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고용이 목표에 도달했고 물가는 2% 목표에 다가가고 있다"며 올해 연준이 지난 2년보다 더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연준은 오는 14~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리치먼드 연은의 제프리 래커 총재도 이날 물가를 의도적으로 2%를 넘게 허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선제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했다.

다만, 이날 일부 다른 연준 위원들은 금리 경로에 대해 언급하지 않거나 옐런 의장과 다른 견해를 보였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제임스 불라드 총재는 이달 기준금리 인상이 정당하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은 통화정책 결정에 특정한 모델이나 규칙을 적용하는 것을 반대하고, 기준금리 인상 경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시카고 연은의 찰스 에번스 총재는 약한 물가 상승률은 연준의 신뢰도에 타격을 준다고 언급했다.

연준 위원들은 통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통화정책 관련 발언을 삼가는 '블랙아웃' 기간에 돌입하기 때문에 이날 연설은 3월 FOMC 전 연준 위원들의 연설을 들을 수 있는 마지막 자리였다.

통상 금리 인상은 위험자산인 증시에 악재가 되지만 경제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를 준다는 점에서 호재가 될 수 있다.

또 금리 인상은 금융기업 실적 개선을 이끌기 때문에 금융주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금융주들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며 강세를 나타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오는 3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86%로 전일 77%보다 높게 반영했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도 긍정적이었다.

미국의 지난 2월 서비스업(비제조업) 활동은 시장 예상을 상회했다.

공급관리협회(ISM)는 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 56.5에서 57.6으로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 56.6을 웃돈 것이다.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확장과 위축을 가늠한다.

아메리칸 아웃도어 브랜드의 주가는 실적 부진 전망에 2.8% 내렸다.

이 회사가 제시한 올 한해 실적 전망치는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스냅챗의 모회사인 스냅의 주가는 이날 10.66% 상승했다.

이 회사 주가는 전일 공모가 17달러 대비 44% 급등세로 마감했다.

이날 CNBC는 NBC유니버셜이 스냅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5억달러를 투자했다고 보도했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증시 투자 심리가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다며 투자자들이 기준금리 인상도 증시에 호재로 인식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7.20% 내린 10.96을 기록했다.

(뉴욕연합뉴스) 신은실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essh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