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자치경찰권 부여 포함해 명실상부한 지방정부 만들 것"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연구개발심의위'로 확대 개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도전을 선언한 안희정 충남지사는 10일 "(대통령이 되면) 현재 서울시장만 참석하는 국무회의 같은 형태가 아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지도자 회의를 신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 지사는 이날 오후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한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의 지방자치 강화와 혁신경제 정책에 대한 비전을 담은 '충청 선언'을 했다.

그는 "현재 광역정부는 중앙정부의 명령전달 관리자 밖에 못한다"며 "사법·자치경찰권 부여를 포함해 명실상부한 지방정부를 만들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자치분권을 통한 지방정부 강화는 예산 철이면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이) 국회에 모여 국가 예산을 따려 하는 모습을 없애고, 비능률적 국회를 정상적인 국회로 발전시키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가칭 '국가연구개발심의위원회'로 확대 개편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과의 시너지 효과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의 조속한 세종시 이전 필요성도 역설했다.

문재인 전 대표와의 '친노 적자 경쟁' 구도에 대해서는 "대선이 친노 적자 정하기 게임은 아니다"라며 "제 머릿속엔 그런 생각이 없다.

새 대한민국의 지도자가 되기 위한 경쟁만 있다"고 선을 그었다.

시대교체와 세대교체를 표방한 대선 도전 의지도 분명히 했다.

안 지사는 "저는 지역주의 틈바구니에서 영원히 3등에 머물렀던 (충청 출신 지도자의) 좌절의 역사를 충청 지역주의가 아닌 영·호남과 충청을 뛰어넘으며 극복하겠다"며 "정권교체가 뭔지 보여드리겠다.

전임 정권을 뒤집는 게 아니라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대한민국을 이끌겠다"고 역설했다.

앞서 그는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린 '안희정과 함께하는 훈밥(훈훈한 밥)' 행사에서 "이명박 정부의 녹색정책과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전략을 지속가능한 발전 철학으로 계승하겠다"며 "그들의 실력 부족으로 실천하지 못한 과제를 꼭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지속가능한 두 가지 정책으로 기후변화 시대 녹색성장과 창조경제혁신전략 등을 꼽은 안 지사는 반대로 '4대강 사업'에 대해선 "24조원 토목공사로는 저성장을 극복할 수 없다"며 관련 정책을 이어가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2017년 여야 간 정권교체가 된다 하더라도 대한민국 국민과 약속한 미래의 희망은 계속될 것"이라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간판을 새로 달고 전임 정부의 일을 도루묵으로 만드는 낙후된 대한민국의 정권교체 역사를 바꾸겠다"고 다짐했다.

각자 준비한 점심 도시락을 함께 나누며 대화하는 형식의 훈밥 행사에는 안 지사 지지자 3천여명이 몰렸다.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wald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