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재계 대표단 접견…"北비핵화에도 관심 가져달라" 당부
"작년 위안부 합의이후 양국 관계 미래지향적으로 발전"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작년 한일정상회담 계기에 체결된 청년인재 교류 MOU(양해각서) 이후 진행 중인 일본 기업의 한국 청년 대상 채용박람회나 인턴십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經團連) 대표단을 접견하고 "청년인력 교류는 한국의 청년실업률 증가와 일본의 구인난을 함께 해소하면서 나아가 미래 양국 간 경제협력 강화의 토대가 된다"며 이같이 당부했다.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게이단렌 회장을 비롯한 일본 재계 대표 18명과 허창수 전경련 회장 등을 면담한 박 대통령은 양국 경제계에 ▲ 교역·인적교류 확대 ▲ 제3국 공동진출 ▲ 신성장산업 협력 ▲ 대한(對韓) 투자확대 등을 요청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먼저 박 대통령은 "작년 위안부 문제 합의 이후 양국 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양자 차원을 넘어 경기침체, 기후변화, 테러 등 전 세계적인 도전과제 대응에 있어서도 협력이 강화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한일 교역을 1천억 달러 이상 규모로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간재, B2B 위주의 교역에서 최종 소비재 교역 확대 등을 통해 반전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며 온라인 전자상거래 등 다방면의 제휴를 당부했다.

이어 "일본을 찾는 한국인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데 방한하는 일본인은 2012년 이후 감소하다가 금년 들어서야 다시 증가하고 있다"며 '코리아 세일 페스타' 행사를 소개한 뒤 "이런 기회에 일본에서 한국을 많이 찾도록 일본 재계가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요청했다.

제3국 공동진출의 확대를 위해 박 대통령은 기존의 에너지, 플랜트, 인프라 외에 "게임·콘텐츠와 의료·헬스케어 등 새로운 분야까지 협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수소차의 사례를 들어 "양국 관련 기업들이 당장의 작은 시장을 놓고 경쟁하기보다는 글로벌 시장을 함께 키워가야 한다"며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한국의 투자환경 장점을 소개하면서 "최근 3년 연속 감소추세인 일본의 대한(對韓) 투자를 다시 늘리기 위해 일본 재계가 투자를 확대해달라"고 당부했다.

투자확대에 발맞춰 "규제프리존 등을 활용한 신산업 규제 완화, 조세·임대료 감면, 현금 지원 등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를 일관되게 제공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한, 박 대통령은 "북핵이라는 공동 위협 앞에서 양국이 긴밀히 소통하고 있는데 북한 비핵화는 안정적 안보환경 확보뿐만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관심을 갖기 바란다"고 북핵 대응 동참을 호소했다.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firstcirc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