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소득층 가구가 돈을 많이 빌리고 있음을 엿보게 하는 통계가 잇따라 나오면서 가계부채 확대에 따른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전국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6조 6,920억원으로 전월보다 5,924억원 늘었다.월간 증가액이 6월(2,349억원)의 2.5배 수준으로 확대된 것으로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년 12월 이후 사상 최대치다.종전에는 작년 10월 5,117억원이 최대 증가 폭이었다.<연합뉴스 DB>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올해 1∼7월 2조 9,984억원 늘면서 작년 말과 비교한 증가율은 무려 21.9%.같은 기간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을 포함한 전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율 8.5%의 3배 가까운 엄청난 수치다.특히 저축은행 가계대출의 서울 쏠림 현상이 심화,10조 3,235억원으로 전체의 61.8%를 차지했다.올해 증가액 중 서울지역 비중은 2조 2,311억원으로 전체의 74.4%나 됐다.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에서 저축은행들이 서울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로 풀이되나 문제는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 저소득층이나 저신용층이 생계를 위해 빌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한은 통계를 보면 지난 7월 저축은행의 평균 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1.20%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2.96%)의 약 4배 수준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은행보다 훨씬 높은 이자를 감당하면서 돈을 빌려야 할 정도로 절박성인 높은 대출은 결국 생활이 어려운 가계가 많아진 것으로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경기 부진 등으로 실질적인 가계 소득이 정체된 현실이 반영됐다는 추론이 가능하다.또 올해 은행권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으로 대출수요가 2금융권으로 이동한 `풍선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지난 달에는 은행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5천억원 늘어났는데 올해 1∼8월 월간 평균 증가액(약 9,500억원)의 2.6배 수준이다.아직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연체율 상승 등 직접적인 위험 신호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당국의 판단이기는 하다.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6.4%로 작년 말보다 0.4%p 떨어졌고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도 0.31%에 머물렀다.그러나 앞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 경기 악화, 부동산 가격 하락 등 충격이 발생할 경우 자영업자,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커질 우려가 크다는 관점에서 당국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기본형 건축비 인상...분양가 상승ㆍ갤럭시 노트7 사용 중지 권고… 이통사, 오늘(12일)부터 임대폰 지급ㆍ하석진 "`혼술남녀` 시청률 3% 넘으면 전신타이즈 입겠다"ㆍ9.11 추모식서 `휘청`… 힐러리 건강이상설 증폭 "폐렴·탈수상태"ㆍ`진짜사나이` 이시영 "7급 공무원 출신.. 퇴직금 두둑이 챙겨" 이력 끝판왕ⓒ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