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갤노트7 사용중지' 권고] 갤노트7 자발적 리콜에도…미국, '삼성 때리기'로 애플 지원 의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정부, 애플 '지원사격' 나섰나
'혹평' 아이폰7 출시 이틀 만에 강경조치 선회
소비자단체·언론 문제 제기에 기다렸다는 듯 대응
2006년 소니·2009년 도요타 '일본기업 때리기' 흡사
'혹평' 아이폰7 출시 이틀 만에 강경조치 선회
소비자단체·언론 문제 제기에 기다렸다는 듯 대응
2006년 소니·2009년 도요타 '일본기업 때리기' 흡사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에 대한 미국 정부기관의 잇따른 사용 중단 조치로 큰 위기를 맞았다. 미국 정부의 갑작스러운 사용 중단 조치가 세계로 확산되면서 파문이 커지고 있어서다. 삼성전자의 즉각적 리콜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가치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움직임이 2009~2010년 도요타 급발진 리콜 사건처럼 ‘외국 기업 때리기’를 통한 자국 기업 보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갑작스러운 사용 중단 조치
지난 2일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전량 교환 조치를 발표했다. 1조~2조원에 달하는 예상 손실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신뢰를 위해 250만대 전량 교환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미디어로부터 호평받았다.
하지만 미국의 반응은 달랐다. 4일 미국 소비자 전문 매체인 컨슈머리포트는 ‘공식 리콜을 해야 한다’며 비판론을 제기했다. 컨슈머리포트는 “삼성의 대응은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가 개입한 공식적 리콜이 아니었다”며 “만약 그랬다면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건 불법이 될 수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 “조사원들이 지난 금요일 아침 복수의 대리점을 방문한 결과 그중 몇 곳은 아직도 제품을 판매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컨슈머리포트는 “만약 리콜 절차를 개시했다면 어떤 문제든 CPSC에 신고하는 것이 우선이어야 한다”며 “그래야만 신고를 검토하고 바로잡는 조치가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후 미국 정부가 바통을 이어받았다. 연방항공청(FAA)이 8일 갤럭시노트7의 항공기 내 사용 자제를 권고했고 CPSC는 9일 사용 중단 조치를 내렸다. 이는 갤럭시노트7이 팔린 10개국으로 확산됐다.
그동안 CPSC는 기기 사용 중단 조치 등을 내릴 때 신중하게 접근했다. 이 때문에 삼성 갤럭시노트7에 이례적으로 신속한 조치를 한 것이 애플을 위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기관들이 공개 조치를 내리기 전부터 일부 소비자단체와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등을 통해 강력한 조치를 촉구하는 의견이 나오는 등 상황이 일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조치는 오는 16일부터 아이폰7 판매에 들어가는 애플에 상당한 반사이익을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 삼성과 애플은 세계 1~2위 스마트폰 제조사로서 경쟁해왔다. 이병태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어느 나라 기업이나 자국 정부와 제도를 활용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공식적으로는 이런 의혹에 관한 의견을 밝히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이런 얘기가 미국을 더 자극할까봐 우려하는 눈치다.
소니, 도요타 등 외국기업 당해
미국의 외국 기업 제품 리콜에 대한 과도한 대응은 과거 여러 차례 있었다. 2006년 ‘소니 배터리 리콜’ 사건이나 2009~2010년 ‘도요타 급발진 리콜’ 사건이 대표적이다. 당시 미국은 정부뿐 아니라 미디어, 의회까지 총동원돼 ‘외국 기업 때리기’를 통한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섰다.
당시 사태는 해당 기업의 미국 내 매출에 큰 타격을 줬다. 일본 언론은 ‘일본 기업 때리기’ 의혹을 제기했지만 전혀 먹히지 않았다.
소니 배터리 사태는 2006년 8월 미국 델컴퓨터가 400만대 이상의 자사 노트북 PC에 포함된 소니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리콜하며 시작됐다. 배터리 팩에 결함이 있어 과열로 발화하는 사례가 여러 차례 발생한 것이 문제였다.
문제가 된 소니 배터리는 HP, 애플, 후지쓰, 레노버, 도시바 등의 노트북 PC에도 쓰였다. 같은 해 10월까지 리콜 대상으로 지목된 소니 배터리 팩은 자그마치 960만개에 달했다. 배터리업계 1위이던 소니는 이 사태를 계기로 삼성SDI, LG화학, 파나소닉 등에 밀려났다. 결국 올해 7월 리튬이온전지 사업부 매각을 발표했다.
도요타 급발진 리콜은 2009년 말부터 2010년 초에 900만대 규모로 이뤄졌다. 도요타자동차의 신뢰성에 엄청난 타격을 주면서 GM 포드 등이 살아나는 계기가 됐다. 당시 도요타는 급발진 문제가 페달이나 매트 등이 걸리는 ‘기계적 결함’ 탓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 소비자단체들은 전자적 결함이 있을 가능성을 끈질기게 제기했다. 매출이 급감한 이후인 2011년 2월 미국 전국고속도로교통안전청(NHTSA)은 10개월의 조사 끝에 도요타 측 주장을 인정하는 결론을 내렸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일각에서는 미국의 움직임이 2009~2010년 도요타 급발진 리콜 사건처럼 ‘외국 기업 때리기’를 통한 자국 기업 보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갑작스러운 사용 중단 조치
지난 2일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전량 교환 조치를 발표했다. 1조~2조원에 달하는 예상 손실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신뢰를 위해 250만대 전량 교환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미디어로부터 호평받았다.
하지만 미국의 반응은 달랐다. 4일 미국 소비자 전문 매체인 컨슈머리포트는 ‘공식 리콜을 해야 한다’며 비판론을 제기했다. 컨슈머리포트는 “삼성의 대응은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가 개입한 공식적 리콜이 아니었다”며 “만약 그랬다면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건 불법이 될 수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 “조사원들이 지난 금요일 아침 복수의 대리점을 방문한 결과 그중 몇 곳은 아직도 제품을 판매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컨슈머리포트는 “만약 리콜 절차를 개시했다면 어떤 문제든 CPSC에 신고하는 것이 우선이어야 한다”며 “그래야만 신고를 검토하고 바로잡는 조치가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후 미국 정부가 바통을 이어받았다. 연방항공청(FAA)이 8일 갤럭시노트7의 항공기 내 사용 자제를 권고했고 CPSC는 9일 사용 중단 조치를 내렸다. 이는 갤럭시노트7이 팔린 10개국으로 확산됐다.
그동안 CPSC는 기기 사용 중단 조치 등을 내릴 때 신중하게 접근했다. 이 때문에 삼성 갤럭시노트7에 이례적으로 신속한 조치를 한 것이 애플을 위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기관들이 공개 조치를 내리기 전부터 일부 소비자단체와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등을 통해 강력한 조치를 촉구하는 의견이 나오는 등 상황이 일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조치는 오는 16일부터 아이폰7 판매에 들어가는 애플에 상당한 반사이익을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 삼성과 애플은 세계 1~2위 스마트폰 제조사로서 경쟁해왔다. 이병태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어느 나라 기업이나 자국 정부와 제도를 활용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공식적으로는 이런 의혹에 관한 의견을 밝히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이런 얘기가 미국을 더 자극할까봐 우려하는 눈치다.
소니, 도요타 등 외국기업 당해
미국의 외국 기업 제품 리콜에 대한 과도한 대응은 과거 여러 차례 있었다. 2006년 ‘소니 배터리 리콜’ 사건이나 2009~2010년 ‘도요타 급발진 리콜’ 사건이 대표적이다. 당시 미국은 정부뿐 아니라 미디어, 의회까지 총동원돼 ‘외국 기업 때리기’를 통한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섰다.
당시 사태는 해당 기업의 미국 내 매출에 큰 타격을 줬다. 일본 언론은 ‘일본 기업 때리기’ 의혹을 제기했지만 전혀 먹히지 않았다.
소니 배터리 사태는 2006년 8월 미국 델컴퓨터가 400만대 이상의 자사 노트북 PC에 포함된 소니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리콜하며 시작됐다. 배터리 팩에 결함이 있어 과열로 발화하는 사례가 여러 차례 발생한 것이 문제였다.
문제가 된 소니 배터리는 HP, 애플, 후지쓰, 레노버, 도시바 등의 노트북 PC에도 쓰였다. 같은 해 10월까지 리콜 대상으로 지목된 소니 배터리 팩은 자그마치 960만개에 달했다. 배터리업계 1위이던 소니는 이 사태를 계기로 삼성SDI, LG화학, 파나소닉 등에 밀려났다. 결국 올해 7월 리튬이온전지 사업부 매각을 발표했다.
도요타 급발진 리콜은 2009년 말부터 2010년 초에 900만대 규모로 이뤄졌다. 도요타자동차의 신뢰성에 엄청난 타격을 주면서 GM 포드 등이 살아나는 계기가 됐다. 당시 도요타는 급발진 문제가 페달이나 매트 등이 걸리는 ‘기계적 결함’ 탓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 소비자단체들은 전자적 결함이 있을 가능성을 끈질기게 제기했다. 매출이 급감한 이후인 2011년 2월 미국 전국고속도로교통안전청(NHTSA)은 10개월의 조사 끝에 도요타 측 주장을 인정하는 결론을 내렸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