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A에 반기 든 국내 카드사 '무슨 일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자카드, 중국·일본 빼고 한국만 해외결제 수수료 인상
신한 등 국내 8개 카드사, 비자·마스타카드 없는 해외 결제망 구축 부심
2011년 출시 비씨글로벌카드, 벌써 900만장 판매
신한 등 국내 8개 카드사, 비자·마스타카드 없는 해외 결제망 구축 부심
2011년 출시 비씨글로벌카드, 벌써 900만장 판매
국내 카드사들도 비자(VISA)나 마스타카드 등 우월적 지위의 글로벌 브랜드 카드사 없이도 해외에서 결제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세계 최대 신용카드사인 비자카드가 국내 카드사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기존 1.0%인 해외 이용 수수료를 내년부터 1.1%로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카드사들은 비자카드의 일방적인 수수료 인상 결정이 불합리하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2009년 수수료를 인상하려다 실패한 비자가 다시 인상 계획을 밝힌 것으로, 국내 소비자의 카드 해외 사용이 계속 증가한 만큼 이중으로 이득을 보게 된다”고 지적했다. “한국 소비자는 수수료 더 내라”
국내 거주자의 해외 카드 이용금액은 2013년 1분기 24억8564만달러에서 지난 1분기 32% 늘어난 32억9952만달러로 급증했다. 글로벌 브랜드 카드사들이 통상 1%의 해외이용 수수료를 챙기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지난 1분기 3300만달러(약 368억원)를 국내에서 벌어들였다는 계산이 나온다.
비자는 지난 4월 처음 공개한 수수료 인상 계획에서 한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홍콩은 포함시킨 반면 중국과 일본은 인상 대상에서 제외해 형평성 논란을 빚고 있다. 비자카드는 “시차가 있을 뿐 일본과 중국의 수수료 인상도 곧 결정할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아직까지 아무런 발표도 하지 않고 있다. 일본은 JCB, 중국은 CUP(유니온페이)라는 독자 결제망을 갖췄다는 점에서 의도적으로 수수료 인상 대상에서 제외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글로벌 브랜드 카드사 가운데 비자카드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54%에 달한다. 마스타카드가 35%를 차지하고, 아메리칸익스프레스와 유니온페이 등이 11%를 나눠 갖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지난 1월부터 가맹점 수수료가 인하된 데다 다음달 28일 시행되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영향으로 카드 매출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마당에 비자카드의 해외결제 수수료 인상 문제까지 겹쳐 초비상”이라고 말했다.
여신금융협회와 8개 전업카드사는 공정위 제소 등을 고려하고 있지만 명확한 해결책이 아니어서 고심하고 있다. 미국 비자카드 본사에 항의 방문하고 소비자단체가 비자카드 불매운동을 벌이는 계획이 나왔지만 본질적인 대책이 될 수는 없다는 게 카드업계 판단이다.
‘No VISA’ 선언하는 카드사
비자카드 등 글로벌 브랜드사를 배제한 해외결제망 구축에 나서려는 카드사 움직임도 생겨나고 있다.
비씨글로벌카드가 대표적이다. 미국 디스커버와 제휴를 맺고 수수료 없이 해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최초의 국내 카드다. 2011년 4월 출시돼 5년여 만에 900만장 정도의 카드가 발급됐다. 비씨카드 관계자는 “해외 온라인 쇼핑 때 쉽게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20~40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꾸준히 발급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디스커버의 결제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결제에선 지역에 따라 일부 제약이 있다.
신한카드는 일본 NTT의 결제대행 자회사인 NTT데이터와 가맹점 확대 및 해외 결제사업망 개방 등과 관련한 협약을 체결했다. 신한카드가 보유한 NTT데이터 가맹점망을 다른 국내 카드사와 공유하기 위해서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3월부터 NTT데이터와 제휴해 비자나 마스타카드 없이 일본에서 결제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한 삼성 KB 비씨 등 8개 전업카드사들은 지난해 말부터 구글플레이스토어 원화결제를 순차적으로 하고 있다. LG유플러스를 PG(결제대행)사로 두고 국내 카드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상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 것. 이전에는 국제 브랜드사를 이용해야만 결제가 가능했다.
핀테크(금융+기술) 발달로 알리페이와 텐페이 같은 전자화폐가 빠르게 활성화되고 있어 비자와 마스타카드 같은 글로벌 브랜드사의 역할이 축소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
카드사들은 비자카드의 일방적인 수수료 인상 결정이 불합리하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2009년 수수료를 인상하려다 실패한 비자가 다시 인상 계획을 밝힌 것으로, 국내 소비자의 카드 해외 사용이 계속 증가한 만큼 이중으로 이득을 보게 된다”고 지적했다. “한국 소비자는 수수료 더 내라”
국내 거주자의 해외 카드 이용금액은 2013년 1분기 24억8564만달러에서 지난 1분기 32% 늘어난 32억9952만달러로 급증했다. 글로벌 브랜드 카드사들이 통상 1%의 해외이용 수수료를 챙기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지난 1분기 3300만달러(약 368억원)를 국내에서 벌어들였다는 계산이 나온다.
비자는 지난 4월 처음 공개한 수수료 인상 계획에서 한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홍콩은 포함시킨 반면 중국과 일본은 인상 대상에서 제외해 형평성 논란을 빚고 있다. 비자카드는 “시차가 있을 뿐 일본과 중국의 수수료 인상도 곧 결정할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아직까지 아무런 발표도 하지 않고 있다. 일본은 JCB, 중국은 CUP(유니온페이)라는 독자 결제망을 갖췄다는 점에서 의도적으로 수수료 인상 대상에서 제외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글로벌 브랜드 카드사 가운데 비자카드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54%에 달한다. 마스타카드가 35%를 차지하고, 아메리칸익스프레스와 유니온페이 등이 11%를 나눠 갖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지난 1월부터 가맹점 수수료가 인하된 데다 다음달 28일 시행되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영향으로 카드 매출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마당에 비자카드의 해외결제 수수료 인상 문제까지 겹쳐 초비상”이라고 말했다.
여신금융협회와 8개 전업카드사는 공정위 제소 등을 고려하고 있지만 명확한 해결책이 아니어서 고심하고 있다. 미국 비자카드 본사에 항의 방문하고 소비자단체가 비자카드 불매운동을 벌이는 계획이 나왔지만 본질적인 대책이 될 수는 없다는 게 카드업계 판단이다.
‘No VISA’ 선언하는 카드사
비자카드 등 글로벌 브랜드사를 배제한 해외결제망 구축에 나서려는 카드사 움직임도 생겨나고 있다.
비씨글로벌카드가 대표적이다. 미국 디스커버와 제휴를 맺고 수수료 없이 해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최초의 국내 카드다. 2011년 4월 출시돼 5년여 만에 900만장 정도의 카드가 발급됐다. 비씨카드 관계자는 “해외 온라인 쇼핑 때 쉽게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20~40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꾸준히 발급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디스커버의 결제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결제에선 지역에 따라 일부 제약이 있다.
신한카드는 일본 NTT의 결제대행 자회사인 NTT데이터와 가맹점 확대 및 해외 결제사업망 개방 등과 관련한 협약을 체결했다. 신한카드가 보유한 NTT데이터 가맹점망을 다른 국내 카드사와 공유하기 위해서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3월부터 NTT데이터와 제휴해 비자나 마스타카드 없이 일본에서 결제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한 삼성 KB 비씨 등 8개 전업카드사들은 지난해 말부터 구글플레이스토어 원화결제를 순차적으로 하고 있다. LG유플러스를 PG(결제대행)사로 두고 국내 카드사를 통해 자체적으로 상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 것. 이전에는 국제 브랜드사를 이용해야만 결제가 가능했다.
핀테크(금융+기술) 발달로 알리페이와 텐페이 같은 전자화폐가 빠르게 활성화되고 있어 비자와 마스타카드 같은 글로벌 브랜드사의 역할이 축소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