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딩숲 사이 4300여개 초록숲…'녹색 복지' 누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도시에 녹색 옷을 입히자
산림청, 11년간 1조4000억 투입
기업·지자체와 손잡고 해마다 확대
산림청, 11년간 1조4000억 투입
기업·지자체와 손잡고 해마다 확대
대전 유성구는 매년 가을철이면 봉명동 유림공원에서 국화향기 가을축제를 연다. 구청 직원들이 재배한 60여종의 국화 8만송이를 보러 지난해에만 45만명이 다녀갔다. 유림공원은 2009년 이인구 계룡건설산업 명예회장이 내놓은 사재 100억원과 시비 등 총 154억5700만원을 들여 5.7㏊에 완공한 도시숲이다. 울산시는 봄을 맞아 울산대공원 남문 사계절꽃밭에 튤립 13만송이를 심었다. 울산대공원은 SK그룹이 2006년 1000억원을 들여 울산 남구 일대 364만㎡ 부지에 조성한 공원으로 한 해 800만명이 찾는 대규모 도시숲이다. 올해로 11년째를 맞은 산림청의 도시숲 조성사업이 큰 성과를 내고 있다. 국민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은 2003년 6.5㎡에서 2013년 8.32㎡로 늘어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9㎡에 근접했다. 산림청은 앞으로 개인, 시민단체, 기업,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도시숲을 더 늘릴 계획이다.
국민 10명 중 7명이 매달 도시숲 찾아
산림청은 생활권 주변에 도시숲 명상숲 가로수길 등을 조성해 지친 도시민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자는 취지로 2005년부터 도시숲 조성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11년간 총 1조4000여억원을 투입해 도시숲 4335개, 명상숲(학교) 2058개, 전통마을숲 복원 105개와 가로수길 4만4282㎞를 조성했다. 올해는 1313억원의 예산을 투입, 전국 427개소에 도시숲과 가로수 등을 조성하고 있다. 건물 사이 자투리 땅에 녹색쌈지숲 92개, 공단·병원·요양소·쓰레기매립장 주변에 생활환경숲 65개, 도심 유휴지와 국·공유지에 산림공원 26개, 명상숲 113개 등을 조성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난해에만 34만4000명의 국민이 도시숲 조성과 관리에 나섰고 수목도 10만그루 기증했다”며 “국민 10명 중 7명이 한 달에 1회 이상 도시숲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도시숲은 학생들 산림교육 등의 장소로도 한몫하고 있다. 연평균 30만명 이상의 청소년이 방과 후 숲교실, 주말 산림학교 프로그램 등에 참여했다. 지난해 산림청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을 조사한 결과 일반 국민의 81.3%, 여론 선도층의 87.7%가 도시숲을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업·국민 주도 도시숲 조성
서울 성동구 뚝섬에 조성된 서울숲은 주거 업무 지역으로 개발하면 약 4조원에 달하는 개발이익이 예상되는 곳이었다. 하지만 70여개 기업과 단체가 2003~2005년 50억원의 기금을 조성하고 시민 1만명이 나무심기에 동참하면서 영국 하이드파크나 뉴욕 센트럴파크에 버금가는 도시숲으로 탈바꿈했다. 삼성화재는 드림스쿨사업을 벌여 매년 학교숲을 조성하고 있다. LG상록재단은 2002년부터 도시숲 등에 나무 이름표 및 새집 달아주기 사업을 해마다 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민·관 거버넌스에 따른 녹지공간 조성 및 관리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말했다.
도시숲에 대한 국민 욕구는 늘고 있지만 관련 예산과 면적은 줄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은 9㎡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 그러나 생활권 주변 숲 조성을 위한 투자는 2009년 1953억원에서 2011년 1724억원, 2013년 1239억원, 2015년 1132억원 등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생활권 도시림 면적도 부족하다. 산림청 관계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20년부터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효력이 상실된다”며 “미집행 도시공원 및 녹지를 도시숲으로 조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국민 10명 중 7명이 매달 도시숲 찾아
산림청은 생활권 주변에 도시숲 명상숲 가로수길 등을 조성해 지친 도시민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자는 취지로 2005년부터 도시숲 조성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11년간 총 1조4000여억원을 투입해 도시숲 4335개, 명상숲(학교) 2058개, 전통마을숲 복원 105개와 가로수길 4만4282㎞를 조성했다. 올해는 1313억원의 예산을 투입, 전국 427개소에 도시숲과 가로수 등을 조성하고 있다. 건물 사이 자투리 땅에 녹색쌈지숲 92개, 공단·병원·요양소·쓰레기매립장 주변에 생활환경숲 65개, 도심 유휴지와 국·공유지에 산림공원 26개, 명상숲 113개 등을 조성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난해에만 34만4000명의 국민이 도시숲 조성과 관리에 나섰고 수목도 10만그루 기증했다”며 “국민 10명 중 7명이 한 달에 1회 이상 도시숲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도시숲은 학생들 산림교육 등의 장소로도 한몫하고 있다. 연평균 30만명 이상의 청소년이 방과 후 숲교실, 주말 산림학교 프로그램 등에 참여했다. 지난해 산림청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을 조사한 결과 일반 국민의 81.3%, 여론 선도층의 87.7%가 도시숲을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업·국민 주도 도시숲 조성
서울 성동구 뚝섬에 조성된 서울숲은 주거 업무 지역으로 개발하면 약 4조원에 달하는 개발이익이 예상되는 곳이었다. 하지만 70여개 기업과 단체가 2003~2005년 50억원의 기금을 조성하고 시민 1만명이 나무심기에 동참하면서 영국 하이드파크나 뉴욕 센트럴파크에 버금가는 도시숲으로 탈바꿈했다. 삼성화재는 드림스쿨사업을 벌여 매년 학교숲을 조성하고 있다. LG상록재단은 2002년부터 도시숲 등에 나무 이름표 및 새집 달아주기 사업을 해마다 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민·관 거버넌스에 따른 녹지공간 조성 및 관리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말했다.
도시숲에 대한 국민 욕구는 늘고 있지만 관련 예산과 면적은 줄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은 9㎡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 그러나 생활권 주변 숲 조성을 위한 투자는 2009년 1953억원에서 2011년 1724억원, 2013년 1239억원, 2015년 1132억원 등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생활권 도시림 면적도 부족하다. 산림청 관계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20년부터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효력이 상실된다”며 “미집행 도시공원 및 녹지를 도시숲으로 조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