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에 'KDI 파워' 부상…긴장하는 한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명 중 3명이 KDI 출신
신임 조동철·신인석, 기존 함준호 위원 등
적극적 통화정책 주문했던 KDI 출신
'비둘기파' 입지 커져…정책방향 격론 예고
신임 조동철·신인석, 기존 함준호 위원 등
적극적 통화정책 주문했던 KDI 출신
'비둘기파' 입지 커져…정책방향 격론 예고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자리에 새로운 위원들이 앉는다. 21일 취임하는 조동철·이일형·고승범·신인석 위원은 오랜 저성장, 급변하는 통화질서에 대응해야 하는 중책을 맡았다. 일곱 명 중 네 명이 교체되는 만큼 금통위 분위기가 어떻게 바뀔지 주목된다. 위기 때마다 적극적 통화정책을 주문한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이 세 명으로 늘어난 점도 관심이 가는 대목이다. 경기 전망과 대응책을 놓고 치열한 논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KDI 출신이 7명 중 3명
20일 하성근·정해방·정순원·문우식 금통위원이 4년 임기를 마치고 퇴임했다. 이들이 마지막으로 참석한 지난 19일 금통위 전체회의에선 금리 동결(연 1.5%)이 결정됐다. 4·13 총선 당시 정치권의 경기 부양 요구가 높았지만 금통위는 큰 변화를 주지 않는 쪽을 택했다.
그럼에도 금리 인하 기대는 여전하다. 주요 근거는 금통위에 새로 부상할 ‘KDI 파워’다. 기존 금통위 멤버인 함준호 위원 외에 조·신 위원이 추가돼 금통위 내 KDI 인맥은 세 명으로 늘었다. 이들은 KDI 시절 같이 근무한 선후배 사이다. 한은 일각에선 KDI 출신들이 금통위 분위기를 주도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이번 금통위 인선 과정부터 주목받았던 조 위원은 셋 중 ‘맏형’이다. 1995년 KDI에 들어가 거시경제팀장, 수석이코노미스트 등을 맡으며 경제 전망과 거시정책 논의를 주도했다. 기획재정부 장관 정책자문관으로도 일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연구 역량이 뛰어난 데다 주관이 뚜렷해 할 말은 꼭 하는 인물”이라고 말했다. 1997년 외환위기 직후 ‘디플레이션 극복을 위해 통화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해 통화정책 논쟁에 불을 붙였다. 작년 말엔 올해 성장률이 3%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한은의 역할을 주문하기도 했다.
◆비둘기파 입지 커지나
신 위원(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1997년부터 10년간 KDI에서 근무했다. 2014년에 취임한 함 위원도 1996년 KDI에 들어가 금융 분야를 연구했다. 두 사람 모두 조 위원이 KDI 거시경제연구부에 들어온 지 1~2년 뒤 합류해 셋은 서로의 성향을 잘 아는 사이다.
KDI의 거시경제 역량을 대표하는 이들이 금통위의 상당 지분을 차지하게 됐다. 조 위원이 금통위에서도 통화정책의 적극적 역할을 중시한다면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의 입지가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임인 하 위원도 금리 인하를 주장해 왔지만 일곱 명 중 한 명의 ‘소수의견’에 그쳤다.
한은도 긴장하고 있다. 한은 집행부의 경제 진단이 금통위원과 조화를 이뤄야 적절한 통화정책을 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위원(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과 고 위원(전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또한 경제 전문성을 갖췄다.
통화정책 방향은 미지수란 진단도 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금통위원들이 이론적 무장이 돼 있다고 하더라도 지금은 기존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어려운 정책이 필요한 때”라며 “주요국 완화정책이 큰 효과를 못 본 만큼 금통위가 금리 인하를 당장 결정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같은 연구소 출신이라고 정책 성향도 같을 수는 없다”며 “2분기 경기 흐름을 살펴본 뒤 정책 결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미/심성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20일 하성근·정해방·정순원·문우식 금통위원이 4년 임기를 마치고 퇴임했다. 이들이 마지막으로 참석한 지난 19일 금통위 전체회의에선 금리 동결(연 1.5%)이 결정됐다. 4·13 총선 당시 정치권의 경기 부양 요구가 높았지만 금통위는 큰 변화를 주지 않는 쪽을 택했다.
그럼에도 금리 인하 기대는 여전하다. 주요 근거는 금통위에 새로 부상할 ‘KDI 파워’다. 기존 금통위 멤버인 함준호 위원 외에 조·신 위원이 추가돼 금통위 내 KDI 인맥은 세 명으로 늘었다. 이들은 KDI 시절 같이 근무한 선후배 사이다. 한은 일각에선 KDI 출신들이 금통위 분위기를 주도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이번 금통위 인선 과정부터 주목받았던 조 위원은 셋 중 ‘맏형’이다. 1995년 KDI에 들어가 거시경제팀장, 수석이코노미스트 등을 맡으며 경제 전망과 거시정책 논의를 주도했다. 기획재정부 장관 정책자문관으로도 일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연구 역량이 뛰어난 데다 주관이 뚜렷해 할 말은 꼭 하는 인물”이라고 말했다. 1997년 외환위기 직후 ‘디플레이션 극복을 위해 통화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해 통화정책 논쟁에 불을 붙였다. 작년 말엔 올해 성장률이 3%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한은의 역할을 주문하기도 했다.
◆비둘기파 입지 커지나
신 위원(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1997년부터 10년간 KDI에서 근무했다. 2014년에 취임한 함 위원도 1996년 KDI에 들어가 금융 분야를 연구했다. 두 사람 모두 조 위원이 KDI 거시경제연구부에 들어온 지 1~2년 뒤 합류해 셋은 서로의 성향을 잘 아는 사이다.
KDI의 거시경제 역량을 대표하는 이들이 금통위의 상당 지분을 차지하게 됐다. 조 위원이 금통위에서도 통화정책의 적극적 역할을 중시한다면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의 입지가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임인 하 위원도 금리 인하를 주장해 왔지만 일곱 명 중 한 명의 ‘소수의견’에 그쳤다.
한은도 긴장하고 있다. 한은 집행부의 경제 진단이 금통위원과 조화를 이뤄야 적절한 통화정책을 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위원(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과 고 위원(전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또한 경제 전문성을 갖췄다.
통화정책 방향은 미지수란 진단도 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금통위원들이 이론적 무장이 돼 있다고 하더라도 지금은 기존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어려운 정책이 필요한 때”라며 “주요국 완화정책이 큰 효과를 못 본 만큼 금통위가 금리 인하를 당장 결정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같은 연구소 출신이라고 정책 성향도 같을 수는 없다”며 “2분기 경기 흐름을 살펴본 뒤 정책 결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미/심성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