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도 국제사회의 북한 핵실험 비판 동참

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가 장관급 회의를 통해 북한 핵실험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12일(현지시간) 교도통신은 크리스티안 이스트라테 CTBTO 준비위원회 의장이 오는 4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장관급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20주년을 기념하는 이번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조약 발효과 전 세계 핵실험 감시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최근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해 대책 등을 협의할 계획이다.

루마니아 대사인 이스트라테 의장은 "대중과 정치지도자들에게 강력한 신호를 보내고 행동해야 할 때가 왔다"고 말했다.

그는 교도통신과 인터뷰에서 이번 회의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해 핵무기 보유국인 미국·러시아·중국 외무장관이 회의에 참석할 것을 요청했다.

CTBTO는 유엔이 핵실험을 막기 위해 1996년 창립한 기구로 세계 183개국이 가입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 이집트, 이란, 이스라엘, 북한, 인도, 파키스탄 등이 조약을 비준하지 않아 정식 발효되지 않고 있다.

CTBTO는 전 세계에 337개 핵실험 감시망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중 약 90%가 가동하고 있다.

CTBTO는 이번 북한 핵실험 역시 감지했다.

한편, AFP 통신은 이스라엘이 국제사회의 북한 핵실험 비판에 동참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 외교부는 이날 "이스라엘은 북한 핵실험을 규탄하며, 지역 안정과 국제 평화를 위협하는 이번 행동에 국제사회와 함께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은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핵무기 보유국으로 공식 선언하지 않았으며,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도 가입하지 않았다.

(서울연합뉴스) 김수진 기자 gogog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