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 위기소통담당관 보직 대상에 '연구직'은 제외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후속조치로 감염병 관리의 최전선에 있는 질병관리본부가 내년 1월부터 차관급 조직으로 격상된다.

29일 보건복지부와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앞서 정부가 방역체계 개편안을 통해 발표한 대로 실장급이던 질병관리본부장이 차관급으로 격상되며 국장급 고위공무원이 센터장을 맡아 이끄는 긴급상황센터(EOC)가 설치된다.

긴급상황센터는 감염병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감염병 정보에 대한 실시간 수집과 분석, 대규모 실전 훈련, 긴급대응팀 파견, 백신이나 격리병상 등 자원 비축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특히 해외 감염병 관련 정보 분석을 강화하고자 긴급상황센터에는 위기분석국제협력과가 신설된다.

감염병 진단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고자 감염병진단관리과도 새로 설치된다.

메르스 사태 당시 질본, 지방자치단체, 민간 병원 사이의 연계가 체계적이지 못해 검사가 늦어졌다는 지적이 반영됐다.

인사와 예산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기획·예산·인사를 담당하는 기획조정과를 설치하기로 했다.

메르스 사태 당시 언론과 국민에 대한 투명한 의사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따라 위기소통(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할 위기소통담당관도 신설된다.

위기소통담당관은 4급 직급의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되, 감염병 분야에서 전문성이 있는 연구직은 보직 대상에서 빠졌다.

이는 위기분석국제협력과장, 감염병진단관리과장 등은 4급뿐 아니라 연구관에도 문호가 개방된 것과 대조적이다.

의사 등 질병관리본부 내 의료인들은 대부분 연구관-연구사로 나뉘는 특수 직렬인 연구직에 속해 있다.

복지부는 "위기소통담당관은 올바른 정보를 신속하고 일관성 있게 제공해 보건당국과 국민이 함께 감염병 위기를 조기 극복하기 위해 신설됐다"고 설명했다.

직제 개편과 함께 보건의료지원을 담당할 2명과 병원 내 감염 관리·검역기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인력 22명이 증원된다.

현재 질병관리본부가 공모하는 역학조사관은 이달 초 단행된 직제 개편에 이미 포함됐다.

질병관리본부는 30명의 역학조사 담당 공무원을 '2년 계약 후 3년 연장' 조건으로 채용할 계획인데, 일부 모집 분야에서 지원자가 모집인원을 넘지 못해 재공고 중이다.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bk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