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룡이 나르샤` 속 해동갑족이 이성계와 홍인방 사이에 놓이며 드라마의 중요 요소로 부각된 가운데 실제 존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고려의 중앙 정치 무대인 도당의 패권을 두고 이성계와 홍인방이 전면전을 벌인 상황에서 해동갑족은 이성계와 홍인방 중 승자를 결정할 열쇠를 쥐었고 동시에 둘 중 한 세력에게 자신들의 운명을 걸게 됐다.



극중 해동갑족은 통일신라 말기부터 후백제, 후고구려를 비롯한 후삼국 시대를 거쳐 고려까지 약 700여 년을 이어온 명망 높은 10대 가문을 일컫는다.



그러나 실제 실록 상 해동갑족이란 표현은 등장하지 않으며, 실록에 거론되는 비슷한 표현은 삼한갑족이다.



삼한갑족은 드라마 속 해동갑족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옛적부터 대대로 문벌이 높은 집안을 말하며 고서 상으로는 청주 한씨와 김해 김씨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삼한갑족을 모방한 드라마 속 해동갑족의 대표 캐릭터로는 민제 외에도 민다경(공승연)으로, 이방원과 정략결혼한 민제의 딸로 훗날 이방원이 조선 3대 왕 태종이 됨에 따라 그의 정비 원경왕후가 되는 인물이다.



원경왕후는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실존인물로 왕실 여인을 비밀에 부치는 법규로 인해 여흥 민 씨라는 가문과 성씨 외에 본명까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온라인뉴스팀]


한국경제TV 핫뉴스
ㆍ김우빈 수지, 실제로 보면 이런 느낌? "신민아-이민호보다 잘 어울려"
ㆍ백재현 집행유예, `동성愛 의혹`은 누명이었나…이혼사유 들어보니
ㆍ대학가상가, 광교(경기대)역 `리치프라자3` 투자열기로 후끈!
ㆍ나성용, 동생 나성범과 비교에 "동생보다 내가 더 낫다" 버럭?
ㆍ`청룡영화제` 유아인, 정유미와 사석에서 밀착 스킨십 "진짜 사귀냐?"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